top of page

구매자 시장, 그러나 구매자는 없다

뉴질랜드 주택 시장에서 무슨 일이 일어나고 있나?

분석 - 매수자 시장이지만 높은 금리와 고용 불확실성으로 인해 이를 막고 있다. 주택 가격과 가치가 하락해 매도자들은 협상력이 떨어졌다. 이번 주 부동산을 움직인 것은 다음과 같다.

4월 전국 주택 가치는 소폭 하락했고, 매수자에게 유리한 매물이 증가했다. 코어로직의 주택 가격 지수는 0.1% 소폭 하락했으며, 가격은 여전히 최고치보다 11% 낮다. 전국 평균 주택 가격은 93만3,633달러이다.


4월의 전국적인 보합세에도 불구하고, 주요 도시들은 계속해서 약간의 변동성을 보였으며, 이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되었다.


더니든의 가치는 4월에 0.7% 상승했으며, 웰링턴과 해밀턴은 0.4% 상승했다. 그러나 크라이스트처치와 타우랑가는 각각 0.1% 하락했고 오클랜드의 가치는 0.6% 하락했다.


뉴질랜드 코어로직 수석 부동산 경제학자 켈빈 데이비슨은 약 7%의 높은 모기지 금리를 감안할 때 시장 상황은 놀라운 일이 아니라고 말했다.


게다가, 새로운 일자리가 여전히 채워지고 있고 현재로서는 실업률이 상대적으로 낮기 때문에, '강제적인 판매'도 많지 않다.



동시에 매수자 관심도 눈에 띄게 냉각되었다. 증가하는 생계비 위기, 고금리와 경기침체 압력이 기여 요인으로 부각되고 있다.


Realestate.co.nz 의 최고 경영자 사라 우드는 매물이 많이 나와 있으며 매수자 부족으로 판매 기간이 길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가계가 어려움을 겪고… 실업률은 증가

뉴질랜드 통계청은 지난 3월까지 3개월간 평균 가계의 생활비가 1% 증가했으며 연간 생활비는 6.2%로 완화됐다고 밝혔다. 실업률은 4%에서 4.3%로 상승했는데, 이는 2021년 중반 이후 가장 높은 수치다.


금융서비스위원회(FSC)의 최근 금융회복력지수(Financial Resilience Index) 추적 결과 뉴질랜드 국민의 70%가 돈 걱정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 결과 90%는 인플레이션에 대해, 76%는 금리에 대해 우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개인 부채는 6%였다. 그리고 임차인의 약 60%는 생활비를 충당하는 것이 다소 또는 매우 어렵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자율

많은 가구가 고용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고, 일부는 금리 인상으로 모기지 연체를 겪고 있다고 중앙은행은 밝혔다.



중앙은행(RBNZ)은 반기별 금융안정보고서에서 대부분의 대출자들이 더 높은 금리로 재 고정했고, 그나마 임금이 올라 가까스로 견디고 있었다.


그러나 지속적인 인플레이션 압력은 세계적으로 금리가 더 오래 높은 상태로 지속될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인포메트릭스 경제학자 브래드 올슨은 다음 금리 인하가 2025년까지는 오지 않을 수 있다고 선택했다. 모기지 연체율은 3월에 소폭 완화되었으며, 대출자의 상환 연체율은 2월의 1.51%에서 1.48%로 감소했다.


그러나 모기지 연체는 여전히 1년 전보다 13% 증가했으며 2019년 수준을 유지했다.


△임대료 인상

임대료가 사상 최고치를 기록하고 있다. 트레이드미에 따르면, 전국 평균 주당 임대료는 650달러로 지난해 3월에 비해 약 50달러 올랐다.


가장 가파른 인상률을 보인 곳은 마나와투/황가누이로 10% 오른 550달러였다. 웰링턴의 임대료는 지난해와 같은 평균 650달러를 고수하며 전혀 변화가 없었다.


오클랜드는 6%의 상승률을 보였고, 주당 평균 임대료가 690달러로 가장 비싼 도시로 남아있다.



△감당할 수 없는 주택 보험료

중앙은행(RBNZ)은 위험도가 높은 부동산 소유자들이 잠재적으로 보험을 점점 더 감당할 수 없게 되고, 일부 부동산은 보험 이용이 불가능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웰링턴의 지진 위험과 같은 특정 지역에서는 위험에 기초한 가격 책정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긴급주택

정부의 긴급주택 우선순위 항목이 이번 주부터 시작됐다. 5월 30일부터는 긴급주택에 12주 이상 거주한 부양자녀가 있는 가정이 대기자 1순위로 이동한다.


타마 포타카 주택장관은 적격성 절차를 명확히 함으로써 긴급 주택을 단기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마지막 수단으로 원래 의도대로 되돌렸다고 말했다.


정부가 설정한 공공서비스 목표 중 하나는 2030년까지 긴급주택에 거주하는 가구 수를 75% 줄이는 것이다.




Comments


Commenting on this post isn't available anymore. Contact the site owner for more info.
재외선거.gif
jjdental 우측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4.9.03.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