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보육의 질 좋지만 비용은 감당할 수 없는 수준 - 유니세프 보고서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뉴질랜드는 OECD와 EU에서 세 번째로 좋은 보육시설을 갖고 있지만, 비용이 가장 많이 드는 나라 중 하나라고 한다.

부유한 국가들의 보육 수준을 묻는 유니세프 설문조사에서 뉴질랜드는 대상국 44개 국가 중 33위를 차지했다. 반면 대한민국은 9위를 차지했다.
각 국가는 보육시설에서 떠나거나 접근하거나, 교육이나 시설의 수준, 경제성에 따라 평가되었다.
뉴질랜드에서, 평균 소득의 커플이 풀 타임 케어를 받는 두 자녀에 대한 교육비로 한 사람 월급의 3분의 1에서 5분의 1을 지출해야 한다.
유니세프 뉴질랜드의 대표 미셀 샤프(Michelle Sharp)는 저소득층 가정을 놓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기본적으로 뉴질랜드의 평균 소득자 부부가 두 아이를 풀 타임으로 보육시설에 맡기기 위해 한 사람 월급의 37%를 지출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엄청난 금액이다."
보고서는 아일랜드, 뉴질랜드, 스위스가 중산층에게 가장 경제적인 보육 시설을 제공했다고 지적했다.
앤드류 베크로프트 아동청장은 유니세프의 육아에 관한 보고서를 "매혹적이지만, 골치 아픈 일"이라고 평했다.
그는 보육의 질이 높다고 안심했지만, 몇 가지 정보에 놀랐다.
"저는 우리가 파트너 지원에 있어서 그렇게 낮은 단계에 있다는 것을 미처 깨닫지 못했다. 그리고 우리가 상대적으로 보육 비용이 많이 든다는 것도 몰랐다. 그것이 저에게 문제라는 사실을 깨닫지 못했다."
아동청장은 가족 세액 공제를 늘리는 것이 육아를 더 저렴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믿었다. 뉴질랜드에서 어머니들은 26주간의 유급 육아휴직을, 파트너들은 2주간의 무급휴직을 받을 권리가 있다.

빅토리아 대학교 유아연구 교수 카르멘 달리는 이 보고서가 뉴질랜드에서 몇 가지 일을 잘 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고 말했으나, "이 일은 아직 끝나지 않았다는 것을 상기시켜주는 좋은 결과”라고 말했다.
"우리는 보육 질에 대한 발견을 과소평가해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그것은 아동 발달에 중요한 서비스의 품질이기 때문이다.
"이 정부는 복지에 정책의 초점을 두고 있다; 경제성 향상과 육아 휴직 연장은 아이들뿐만 아니라 가족과 사회 전체에 대한 복지를 지원할 것이다."
▶유니세프가 선정한 육아 상위 10개국
1. 룩셈부르크
2. 아이슬란드
3. 스웨덴
4. 노르웨이
5. 독일
6. 포르투갈
7. 라트비아
8. 덴마크
9. 대한민국
10. 에스토니아
…
21. 일본
22. 캐나다
…
33. 뉴질랜드
35. 영국
37. 호주
38. 스위스
40. 미국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