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매출 ‘뚝’, 웰링턴 한 길엔 ‘수십 개의 빈 가게’

작성자 사진: WeeklyKoreaWeeklyKorea


웰링턴의 유명 거리인 램튼 퀘이(Lambton Quay)와 코트네이 플레이스(Courtenay Place) 사이에는 빈 가게들이 46개나 줄지어 있다.

그리고 소매업체들은 매출 감소, 타이트한 마진, 이익 감소를 보고하면서 빈 가게들이 더 늘어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다.



대유행 이후 재택근무를 하는 사람들의 증가와 연립정부가 수천 개의 공공서비스 일자리를 줄이면서 주중에 웰링턴 중심부는 사람들이 줄어들었다.

빅토리아 스트리트에 있는 보석상 빌리지 골드스미스의 소유주인 이안 더글라스는 수도인 웰링턴뿐만 아니라 전국적으로 소매 환경이 어려운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고 말했다.


그러나 그는 자신을 대부분의 사람들보다 더 운이 좋다고 생각했다. 그는 그 가게를 완전히 소유했고 그것은 1981년부터 웰링턴에서 설립돼 운영되는 확고한 사업이었다.


비즈니스 센트럴의 최고 경영자인 사이먼 아커스는 업체들이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고객들의 말에 귀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는 "소비자 행동이 바뀌면 이에 적응하기 위해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소매업체들이 트렌드를 보고 고객이 원하는 것을 지향하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업체들은 좋은 관계를 가지고 있고, 고객들이 원하는 방식을 이해하지만, 그것은 어렵고, 매우 도전적이며, 좋은 경제에서도 이런 종류의 문제를 보게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피클&파이 카페와 도우 베이커리의 사장인 팀 트레이시는 그런 것들이 그의 사업장에서 일해 온 방식이라고 말했다.


그는 "우리는 고객과의 대화를 통해 정식 대신 간단한 커피와 가벼운 간식을 위해 나오고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고 말했다.


"그리고 우리는 고객들이 재택근무를 많이 하고 있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고객에 더 가까이 가기 위해 인근 주택가를 포함한 교외 지역에 가게를 열었습니다."



앨런 스트리트에 있는 글로 글로 카페의 마이크 니는 자신도 새로운 전략을 채택했다고 말했다.


"그것은 새로운 메뉴를 출시와 직원들 소개 그리고 아직 활력이 넘쳐나고 이런 업소가 있다는 것을 전달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라고 그는 말했다.


통계청 최신 자료에서 경제가 불황에서 약간 벗어났다는 것을 보여주자 업체들은 앞으로 몇 달 동안 매출이 증가할 것이라는 부푼 희망을 가지고 있다.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배너광고모집_490x106.jpg
jjdental 우측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위클리코리아_250301.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