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재활용품 통에 넣은 17% '매립지로 가야 할 쓰레기'



한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에 재활용 통에 넣어졌던 물건들 중 거의 5분의 1이 오염으로 인해 다시 쓰레기장으로 옮겨졌다. 재활용품 업계는 정부에 더 많은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뉴질랜드의 가정 쓰레기 및 재활용품의 약 95%를 수집하는 9개 회사의 업계 대표인 폐기물 및 재활용 산업 포럼에서 발표됐다.



바니 어바인 대표는 "이 수치는 시스템이 우리가 원하는 방식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재활용품을 제대로 헹구지 않았거나 도로변 수거 시스템에서 재활용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재활용 과정에서 거부된다.


수동 및 자동 분류 과정에서 감지되지 않으면 해당 품목은 다른 재활용 가능한 용품을 오염시킬 수 있다.


"안타깝게도, 오염률은 몇 년 전부터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는 시스템이 필요한 만큼 잘 작동하지 않아 이로 인해 추가 비용이 많이 든다며 시스템 내 환경 발자국은 우리가 원하는 것보다 훨씬 크다고 말했다.


오클랜드 카운슬의 폐기물 기업 및 쓰레기 관리자인 테리 코가 도시의 폐기물 시설 전반에 걸쳐 주목한 사안이다.



그는 2020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우리는 재활용 시설이 처리할 수 있는 용량 중 약 11%가 오염된 것으로 확인됐지만 지금은 20%가 넘는다고 말했다.

교육 부족이 오염 증가의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지만, 어바인은 일부 사람들이 단순히 규칙을 어기고 있다고 말한다.


어바인은 "많은 물건들이 그 통안에 있어서는 안 되는 것들이다. 더럽혀진 기저귀든, 낡은 옷이든, 낡아빠진 자전거든"이라고 말했다.


재활용을 더 쉽게 하기 위해 올해 초에 표준화가 도입되었지만 재활용 협회는 정부가 더 많은 조치를 취하기를 원한다고 말한다.


"우리는 소비자뿐만 아니라 생산자에게도 초점을 맞추기를 원하기 때문에 재활용할 수 없는 제품을 시장에 내놓는 경우 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합니다."



업계 대표는 또한 뉴질랜드의 재활용 인프라를 개발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물건의 범위를 늘리며, 해외로 보내는 재활용품의 양을 줄이기 위한 명확한 계획을 보고 싶어 한다.



Comments


Commenting on this post isn't available anymore. Contact the site owner for more info.
대통령선출.gif
jjdental 우측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위클리_250603.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