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용품 통에 넣은 17% '매립지로 가야 할 쓰레기'
- WeeklyKorea
- 2024년 5월 19일
- 1분 분량

한 새로운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에 재활용 통에 넣어졌던 물건들 중 거의 5분의 1이 오염으로 인해 다시 쓰레기장으로 옮겨졌다. 재활용품 업계는 정부에 더 많은 조치를 요구하고 있다.
이 보고서는 뉴질랜드의 가정 쓰레기 및 재활용품의 약 95%를 수집하는 9개 회사의 업계 대표인 폐기물 및 재활용 산업 포럼에서 발표됐다.
바니 어바인 대표는 "이 수치는 시스템이 우리가 원하는 방식으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어서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재활용품을 제대로 헹구지 않았거나 도로변 수거 시스템에서 재활용할 수 없는 것으로 간주되는 경우 재활용 과정에서 거부된다.
수동 및 자동 분류 과정에서 감지되지 않으면 해당 품목은 다른 재활용 가능한 용품을 오염시킬 수 있다.
"안타깝게도, 오염률은 몇 년 전부터 계속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는 시스템이 필요한 만큼 잘 작동하지 않아 이로 인해 추가 비용이 많이 든다며 시스템 내 환경 발자국은 우리가 원하는 것보다 훨씬 크다고 말했다.
오클랜드 카운슬의 폐기물 기업 및 쓰레기 관리자인 테리 코가 도시의 폐기물 시설 전반에 걸쳐 주목한 사안이다.

그는 2020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우리는 재활용 시설이 처리할 수 있는 용량 중 약 11%가 오염된 것으로 확인됐지만 지금은 20%가 넘는다고 말했다.
교육 부족이 오염 증가의 원인 중 하나로 여겨지고 있지만, 어바인은 일부 사람들이 단순히 규칙을 어기고 있다고 말한다.
어바인은 "많은 물건들이 그 통안에 있어서는 안 되는 것들이다. 더럽혀진 기저귀든, 낡은 옷이든, 낡아빠진 자전거든"이라고 말했다.
재활용을 더 쉽게 하기 위해 올해 초에 표준화가 도입되었지만 재활용 협회는 정부가 더 많은 조치를 취하기를 원한다고 말한다.
"우리는 소비자뿐만 아니라 생산자에게도 초점을 맞추기를 원하기 때문에 재활용할 수 없는 제품을 시장에 내놓는 경우 이에 대한 책임을 져야 합니다."

업계 대표는 또한 뉴질랜드의 재활용 인프라를 개발하고, 재활용할 수 있는 물건의 범위를 늘리며, 해외로 보내는 재활용품의 양을 줄이기 위한 명확한 계획을 보고 싶어 한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