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작성자 사진Weekly Korea EDIT

[조기조의 세상속으로] 실리콘 슬로프와 메가시티



한 의원의 독설에 회사를 다른 주로 옮긴 기업이 있다. 아주 큰 기업이라서 떠난 자리에 충격이 클 것이다. 일자리가 사라지고 그 사람들에게 먹고사는 것을 돕던 다른 공급자들이 힘들게 될 것이다. 떠나봐야 “있을 때 잘 해!”를 안다.

근년에 실리콘 밸리에서 줄줄이 떠나고 있다. 벤처로 출발해서 살아남는 기업은 5%가 안 될 것이다. 그렇게 살아남은 자가 수천, 수만을 먹여 살린다. 그런데 그런 기업인들을 적대시하고 과하게 세금을 매긴다. 이미 땅값, 집값은 하늘 높은 줄 모르고 줄줄이 붙는 세금과 공과금에다 벌리는 손은 외면하기 어렵다.


그 기업인은 울고 싶은데 뺨 맞은 격이다. 오래전에 영화 ‘라스베이거스를 떠나며’를 보았다. 술이나 쳐(?)먹고 망해 떠나는 비렁뱅이가 연상되는 그 도시, 도박의 유혹만 이기면 제대로 휴양을 할 수 있는 곳이다.

보고 쉬고 배울게 많은 곳이다. 라스베이거스 아래에는 모하비 사막이, 왼쪽에는 죽음의 계곡 데쓰 밸리가 있고 오른쪽으로는 그랜드캐년이 있다. 유타주의 땅이기는 하지만 2시 방향으로 올라가면 “베어 이어즈, 그랜드 에스칼란테” 국가유적지가 있다.

지도를 보면 곰의 귀를 닮았다 해서 곰귀(bear ears)라 부르는 곳인데 수십만 점의 원시 유물, 유적이 있는 곳이다. 라스베이거스를 지나는 15번 고속도로를 따라 조금만 올라가면 유타주에 닿는다.


그곳에 많은 국립공원이 있고 거기서 서너 시간을 더 올라가면 와사치 프런트(wasatch front)라는 곳에 메가시티가 나온다. Provo – Lehi - Salt lake city - Ogden을 잇는 대도시로 ‘실리콘 슬로프’라는 곳이다. 넓게는 남단의 St. George에서 북쪽 끝의 Logan에까지 이른다.

‘실리콘 밸리’의 밸리 대신에 슬로프라는 말을 쓴 것은 그 지역에 산기슭의 언덕배기가 많기 때문이다. 바로 이웃에 있는 파크 시티는 매년 1월말에 선댄스 영화제가 열리는 곳이다. 고급인력이 풍부하고 기업을 지원하는 정부라는 든든한 바탕위에 기술과, 문화와 경제가 뿌리 내린 곳이다.

6,500개 이상의 스타트업과 기술 회사가 있는 이곳엔 설립한지 10년 내에 기업가치 1조원을 달성한, 유니콘 기업들이 비온 뒤 죽순 나듯 한다.

10월 13일부터 솔트레이크 시티에서 열린 ‘실리콘 슬로프 2021’회의에서 애플의 팀 쿡 회장은 기조연설을 했다. “우리는 사람들의 삶을 풍요롭게 하고 매일 위대한 일을 할 수 있는 권한을 부여하기 위해 최고의 제품과 서비스를 설계하면서 혁신을 계속하고 있습니다.” 헐! 돈을 벌기 위해서라는 말은 어디에도 없다.

신제품의 가격이 싸지도 않다. 그러나 애플의 제품의 여전히 신기술의 선두를 달리고 있다. 그들은 우리의 삶, 생활을 바꾸어 놓고 있다. 아이폰, 아이패드, 애플 와치 등은 끊임없이 진화한다. 이게 혁신이다.

저장 용량은 커져야 하고 사용하기는 쉬워야 하며 배터리 소모는 적어야 한다. 그걸 잘 알고 또, 더 강력한 성능의 카메라와 인공지능의 채택으로 놀라운 세계에 살게 해 준다.

실리콘 슬로프의 성공요인은 충분한 휴식과 건강한 활동을 즐길 수 있는 자연환경과 유능한 인력을 공급할 수 있는 교육기관이 많은 것 외에도 독특한 몰몬교의 가족중심, 인간 중심, 이웃사랑 문화가 한 몫을 한다는 점이다.

고교를 졸업하고서나 대학 초년에 떠나는 선교활동으로 젊을 때 사서 한 고생, 외국어와 외국의 문화에 익숙하고 너른 세상을 보는 안목을 가진 사람들이 많다는 것이다.

전국에서 면적이 12%인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 작년 말 기준 전체 인구의 50.2%, 청년층 56.2%가 산다. 2019년 기준 지역내총생산(GRDP)도 수도권이 우리나라 전체의 52%를 차지한다. 너무 집중되어 있다. 수도권의 집값이 내려갈 수 없는 이유다.


그래서 정부가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 광주•전남, 대전•세종•충북•충남 등 전국 4곳의 지방자치단체를 ‘초광역권’으로 묶어 5~8백만 명의 메가시티로 만들겠단다.

특히나 부산, 울산, 경남의 경우 자동차, 조선 등 제조업이 밀집해 있어 행정과 교육 시스템이 통합 효과를 내면 경쟁력이 크게 높아질 수 있단다. 기존의 지자체를 그대로 유지한 상태에서 특별지자체 형태로 경제•관광•교통 등 공통 현안을 처리하게 한다며 당장 내년부터 가동하게 예산을 주는 모양이다. 멋진 말이다.

사실, 전국이 단일 경제권이다. 거리가 먼 부산 서울간에 비행기로는 두 시간이면 집에서 집으로 닿는다. 기차로는 3시간이면 된다. 오래전에 부산을 금융도시로 지정하고 지원하였다.

그 효과가 얼마나 났는가? 또 여러 기관을 지방으로 분산시킨 지역의 혁신도시는 어떠한가? 세종시는 여전히 행정력 낭비라는 비판을 받고 있다. 하필 대선을 앞두고 나와서 표를 의식한 탁상공론이 아니길 바란다. 집안싸움만 하다말까 걱정이다. 실리콘 슬로프는 하루아침에 된 게 아니다.

20~30년을 사회지도층이 한목소리를 낸 결과다. 문제는 일자리다. 자영업자와 소상공인. 기업인을 숨 쉬게 하라.


조기조(曺基祚 Kijo Cho), 경남대학교 명예교수

조회수 274회댓글 0개

Comments


배너광고모집_490x106.jpg
jjdental 우측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위클리코리아_241204.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