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주목받는 장례비… “빚 없는 죽음 위한 변화 필요”

장례비, 여전히 비싸고 복잡

장례비용은 누구나 피하고 싶지만 반드시 마주해야 하는 비용이다. 특히 사랑하는 사람을 보내는 슬픔 속에서 수천 달러의 비용을 지불해야 하는 현실은 많은 사람들에게 분노와 좌절을 안긴다.

뉴질랜드 장의사협회(전문협회)의 최고 경영자인 질리언 보이스는 “장례는 원한을 사서 하는 구매, 슬픔을 사서 하는 구매”라며 복잡하고 높은 장례비가 유족들에게 이중 고통이 된다고 지적했다.


뉴질랜드의 평균 장례비는 약 1만 달러. 비용 구성은 다양하지만 대체로 고액이다.


장례 절차 관련 규정은 1964년, 1973년 법률에 기반하고 있어 시대에 뒤떨어진 규제가 여전히 적용되고 있지만, 관련 규정 개정 작업은 15년 전부터 논의됐지만 여전히 미완료 상태다.



최근에는 새로운 수장 기술도 등장했지만, 규정 미비로 인해 여전히 공식 처리 방법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상황이다.


보이스 대표는 “우리는 이제 법 개정 작업이 마무리되기를 강력히 희망한다”며 지연된 개정에 대한 답답함을 토로했다.


장례비 절감을 위한 움직임

시민단체 ’빚 없는 죽음(Death Without Debt)’은 전국적으로 DIY(직접 주관) 장례 정보를 공유하는 모임을 열고 있으며, 정부에 보다 간소화된 장례 절차와 문서화, 비용 절감을 요구하고 있다.



보건위원회도 이를 반영해

  • DIY 장례 절차 정보 제공 확대,

  • 사망 문서 접근성 개선,

  • 관련 서류 통합 제공,


등을 권고했지만 구체적인 변화는 아직 미흡한 실정이다.


제도적 한계로 인해 현재 뉴질랜드 정부가 지원하는 장례비 보조금은 약 2,600달러 수준으로, 평균 장례비의 1/4에도 못 미친다. 이에 따라 보조금 증액 요구도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보이스 대표는 또 하나의 문제로 장례식 가격의 불투명성을 꼽는다. 소비자들이 정확히 어떤 비용에 대해 얼마를 지불하는지 명확히 알 수 있도록 가격 공개가 필요하다는 주장이다.



장례비 문제는 높은 비용과 복잡한 절차로 유족들에게 큰 부담을 주고 ‘빚 없는 죽음’ 운동 등 시민사회 요구에 정부도 변화 필요성 인지하게 됐다. 하지만, 법 개정 지연, 지원금 부족, 절차 불투명성 등 해결 과제는 여전하다.


뉴질랜드 DIY 장례 절차


DIY 장례(DIY Funeral)는 전문 장의사의 도움 없이 가족 또는 지인들이 직접 장례 절차를 주관하는 형태다. 뉴질랜드에서는 법적으로 DIY 장례가 허용되어 있지만, 일정한 절차를 따라야 한다.


Comments


Commenting on this post isn't available anymore. Contact the site owner for more info.
001-Recovered.gif
jjdental 우측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위클리롤링_0702.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