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중앙은행의 청신호 기다리는 중 ‘경제활동 5분기 연속 감소’

뉴질랜드의 1인당 경제활동은 현재 1년 넘게 감소하고 있으며, 인구 증가에도 불구하고 헤드라인 성장률은 추세를 훨씬 밑돌고 있다.


작년 말, 우리는 약 2분기 동안 마이너스 성장에 대한 정치적 논쟁의 대안으로 불황에 대한 더 나은 정의를 마련하려고 시도했다.


이 데이터는 이제 훨씬 더 명확해 보인다. 지난 1년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은 0.6%에 불과했고, 이는 역사적 평균치인 2.5%보다 훨씬 낮은 수치이다.


그런 다음 강력한 인구 증가로 인한 부양 효과를 제거하면 각 개인의 경제 규모는 3.1% 감소하고 구매력은 4.8%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실업률은 지난 1년 동안 0.6% 상승했는데, 이는 뉴질랜드의 ‘샴의 법칙(Sahm Rule)’에 부합하지 않을 수 있지만 분명히 그 방향을 가리키고 있다.

※‘샴의 법칙(Sahm Rule)’은 국가실업률(U3)의 3개월 이동평균이 이전 12개월 동안 최저치에 비해 0.50%포인트 이상 상승할 때 경기침체가 시작되는 것과 관련된 신호를 파악하는 것이다.


GDP 데이터에서는 소매업 및 제조업 모두 지난 한 해 동안 3.5%, 5.2% 하락해 모두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유일하게 충족되지 않았을 수 있는 경기침체 지표는 실질임금의 감소뿐이다. 대부분의 임금 측정치는 2023년에 물가상승률 4.7%보다 큰 상승폭을 보였다.


그러나 BNZ의 경제학자 더그 스틸은 GDP 자료를 통해 실질소득에 대한 심각한 압박이 있었음이 분명하다고 말했다.


그는 "사실 더 광범위한 소득 지표는 GDP 자체보다 더 나빠 보인다"고 말했다.


실질 국민총가처분소득(RGNDI)은 총 구매력을 나타내는 지표로 2023년 마지막 분기 3개월 동안에만 2% 하락했다.


스틸은 "현재 RGNDI의 최고점에서 최저점까지의 감소율은 6.1%로 누적되어 GFC 기간 동안 이 측정치의 최고점에서 최저점보다 더 높다"고 말했다.


경제가 모종의 불경기에 깊이 빠져든 것은 이제 아주 분명하다.



▶무엇이 제일 고통스러운가?

뉴질랜드 통계청 자료에 따르면 12월 분기(4/4분기)의 가장 큰 약세는 재고 수준의 급격히 감소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포메틱스의 수석 예측가 가레스 키어넌은 이는 유통 부문이 대유행 기간 동안 보유하고 있던 높은 수준의 재고를 매도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로 인해 유통업체들이 판매된 재고를 재입고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가계가 더 적은 상품을 요구하면서 수입물량도 비슷한 수준으로 감소하는 결과를 낳았다.


봉쇄 기간을 제외하고 술, 의류, 통신, 음식점 등에 대한 지출은 1992년 이후 가장 큰 폭으로 감소했다.


지난 1년간 1인당 소비지출은 2.5% 감소했다. 다시 말하지만 이는 지난 30년간 가장 큰 연말 하락세이다.



▶여기서 어디로 가야 하나?

니콜라 윌리스 재무장관은 이 발표된 자료에서 다루는 3개월 중 한 달 동안 경제를 일상적으로 담당했다.


그녀는 성명에서 정부 지출을 줄이고 더 많은 경제 성장을 촉진할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를 통해 보여준다고 말했다.


"급격하게 증가하는 인구에도 불구하고 우리가 경기 침체에 빠져 있다는 것은 걱정스러운 일입니다. 이는 경제를 강화하고 성장시키는 우리의 접근 방식이 올바른 접근 방식이라는 것을 강화합니다."


노동조합협의회(Council of Trade Unions)의 수석 경제학자인 크레이그 레니는 동일한 자료에서 거의 정반대의 결론에 도달했는데, 이는 정부가 더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는 것이다.

뉴질랜드와 영국의 성장은 호주와 미국과 같은 경제 계획이 더 강했던 나라들에 뒤쳐지고 있었다.


그는 "미국처럼 투자에 기반한 적극적인 경제 계획을 가진 국가들은 경제 성장과 고용 증가가 호조를 보이고 있다"며 "이번 정부는 경제와 반대의 방향으로 가고 있다"고 말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직원들은 최근 뉴질랜드를 방문하여 경제에 대한 연례 점검과 정책 입안자들에게 몇 가지 높은 수준의 조언을 제공했다.


에반 파파조르지우 책임자는 경제 성장이 부진한 상황에서도 지출을 축소하려는 연립정부의 계획이 옳은 조치라고 말했다.


구조적인 재정 문제를 해결한다고 해서 반드시 경기 침체를 악화시키는 것은 아니며, 이는 조기 금리 완화에 기여함으로써 "스스로의 모멘텀을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 의미에서 경제는 제한된 통화정책으로 인해 더디게 돌아가고 있을 뿐이며, 금리가 정상화되면 역사적인 성장률로 돌아가야 한다.


현 단계에서 경기를 부양하는 것은 경기회복을 지연시키거나 후퇴시킬 수도 있다. 금리인하를 통해 중앙은행이 경제 성장에 청신호를 보낼 때를 대비해 재정파우더를 건조하게 유지하는 것이 더 나을 수도 있다.





Comments


Commenting on this post isn't available anymore. Contact the site owner for more info.
대통령선출.gif
jjdental 우측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위클리_250603.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