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키위뱅크 수석 경제학자, 중앙은행의 '야만적' 금리 인상… 생각보다 더 심각

작성자 사진: Weekly Korea EDITWeekly Korea EDIT
봄에 금리 인하하면 경제와 주택시장 되살릴 수 있어


키위뱅크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재로드 커는 "중앙은행의 야만적인 통화정책이 더블딥 경기침체를 불러와 뉴질랜드인들에게 헤드라인 수치가 시사하는 것보다 더 큰 타격을 줬다"고 말했다.

커는 실업률 증가, 지속적인 경제 불확실성, 기록적인 뉴질랜드인들의 해외 이주에 대해 뉴질랜드인들이 우려하는 것은 옳다며, 인플레이션을 통제하기 위한 중앙은행의 노력은 가혹한 현실이 됐다고 말한다.


"우리가 보고 있는 것은 지난 몇 년 동안의 꽤 야만적인 금리 인상의 영향입니다. 우리가 부채에 시달리게 되고, 경기 침체를 겪게 되면 그것은 곧 바로 노동 시장에 나타나게 됩니다."라고 커는 말한다.



하지만 가계가 2024년 말까지 버틸 수만 있다면 고통이 완화될 수도 있다.


4월 소비자물가지수 수치에 따르면 연간 인플레이션율은 4%로 2022년 6월 7.3% 최고치 이후 가장 낮았지만 여전히 중앙은행의 목표 범위인 1~3%를 웃돌았다.


뉴질랜드는 공식적으로 마지막 2022년 마지막 분기에 경기 침체에 빠졌지만 2023년 중반기에 반등하는 듯 보이다 3023년 하반기에 경제가 다시 급락했다.

"명목 GDP를 보면 상당히 얕게 보이지만 여전히 경기 침체입니다. 하지만 그것이 뉴질랜드 국민 개개인의 관점에서 무엇을 의미하는지 좀 더 깊이 파고들면, 상당히 깊습니다. 이는 각 개인의 경제 규모에 따라 3%의 위축을 뜻하며, 우리가 생각했던 것보다 더 나쁩니다.”


"우리는 소매 판매 수치에서 그것을 보았습니다. 당신이 경제 파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헤드라인 수치가 알려주는 것보다 더 많이 감소했습니다."



그는 기록적인 순이주가 일부 수치를 억제하는 데 도움이 됐지만, 중앙은행의 금리 인상으로 모기지 금리가 가계와 기업에 타격을 입혔고 기록적인 이주민들만으로 이를 막기에 충분하지 않다고 말했다.


"모기지 재조정에는 약간의 계절성이 있습니다. 대부분의 활동은 봄과 여름에 걸쳐 발생합니다. 2022년에는 2%에서 2.3% 수준으로, 2022년 말에는 5%와 6% 수준으로 변화되는 것을 보았습니다. 그들은 1년 고정 후 재조정하는 과정에서 2023년 하반기에 더 많은 금리 인상으로 다시 차용인들의 뺨을 때렸습니다."라고 커는 말한다.



그리고 앞으로 조금 더 많은 고통이 남아 있다. 커는 실업률 증가와 함께 모기지 연체자들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면서 우리는 지금 기업들이 직원을 해고해야 하는 시점에 와 있다고 덧붙였다.


경제 전망은 기록적인 이주자 이탈을 집계하면서 더 많은 뉴질랜드인들이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었다.


뉴질랜드는 2023년 12월에 연간 12만 6,000명의 기록적인 순이주 증가를 경험했는데, 이는 2023년 10월의 13만 4,400명 이후 가장 큰 순이주 증가를 기록한 반면, 뉴질랜드 통계청은 기록적인 숫자의 키위가 여전히 우리 나라를 떠나고 있으며, 많은 키위가 호주로 이동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뉴질랜드 통계청의 2024년 2월까지의 통계에 따르면 뉴질랜드 해외 이민 수치는 시민들의 연간 기록을 두 번이나 기록했다. 해외 이주자는 7만 4,900명으로 이전 기록인 2012년 2월 7만 2,400명을 넘어섰고 순이주 손실은 4만 7,700명으로 2012년 2월 4만 4,400명을 넘어섰다.



커는 호주가 왜 매력적인지 알겠다며 그들의 중앙은행은 금리에 대해 공격적이지 않았고 주택시장은 여전히 감당할 수 없지만 뉴질랜드만큼 감당할 수 없는 수준은 아니라고 말했다.


그는 중앙은행의 가혹한 조치에도 불구하고 뉴질랜드는 여전히 주택 시장에서 수요와 공급 사이의 심각한 불균형을 겪고 있으며, 이는 줄어들 기미가 보이지 않고 계속되는 규제 장애물과 인프라 부족으로 인해 악화되고 있다고 말했다.


개발업자들이 현재 환경에서 새로운 프로젝트를 수행하는 것을 꺼리고 있으며, 그것이 바로 우리에게 불필요한 것이라고 커는 말한다.


즉 개발업자들이 개발을 할 때는 개발이 완료되면 물건을 판매할 수 있어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확신이 없기 때문이라는 것.


1년에서 1년 반 전에 환상적인 파이프라인을 가진 많은 개발업자들이 있었지만, 지금은 많은 파이프라인이 말라버렸다고 커는 표현했다.



그러나 그는 여전히 2024년 말 반전을 앞두고 있다고 말한다.


커는 뉴질랜드의 장기적인 생존 가능성 측면에서 볼 때, 내년 이맘때쯤 우리가 더 나은 위치에 있을 것이라는 꽤 강력한 확신을 갖게 되어 기쁘다고 말했다.


그는 11월까지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를 통해 가계의 금융 부담을 완화하고 향후 1년간 모기지 대출 금리가 100bp 인하될 것으로 예상돼 보다 안정적인 시장 환경을 조성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커는 11월부터 시작되는 중앙은행의 금리 인하 기대감으로 상황이 반등하기를 바란다며, 그렇게 되면, 올해 주택 가격이 5~7% 정도 상승하고 내년에도 비슷한 수준으로 상승시킬 수 있어 시장에 충분한 신뢰를 다시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이는 견조한 상승이지만 과거에 보았던 것처럼 터무니없는 것은 아니다. 중앙은행이 금리를 인하하는 것을 보면 가계는 안도의 한숨을 쉴 것이다.






 
 
 

Comments


Commenting has been turned off.
배너광고모집_490x106.jpg
jjdental 우측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위클리코리아_250301.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