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청, 생활비 ‘12개월 만에 7.7% 상승’
- WeeklyKorea
- 2023년 5월 1일
- 1분 분량

통계청이 발표한 새로운 수치에 따르면 식품 및 주택 비용이 모든 가정의 인플레이션 주요 동인이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소비자 물가 관리자인 제임스 미첼은 "식품 가격은 평균적인 가정에서 12% 올랐는데, 이것은 대부분 가정의 주요 원인이 되었다."라고 말했다.
▶일반가정의 평균 생활비
평균 가구의 생활비는 2022년 12월까지 12개월 동안 8.2% 증가한 데 이어 지난해에도 7.7%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자 증가세, 식료품, 임대료, 과일과 채소의 높은 가격이 이러한 증가의 주요 원인이었다.
▶수급가정 생활비
정부의 지원을 받는 수혜가구의 생활비는 임대료와 이자, 식료품 가격 상승으로 지난해 6.7% 증가했다.
임대료는 수혜 가정 지출의 약 3분의 1을 차지한다. 일반가구 평균인 13%와 가장 지출이 많은 가구 5%와 비교된다.

▶마오리족 가정 생활비
마오리족 가구의 생활비는 작년에 7.5% 증가했다.
마오리족 생활비 상승의 주요 원인은 이자, 임대료, 식료품, 과일과 채소였다.

▶작년 비용:
이자 납부 38% 증가
임대료 5.4% 인상
식료품 식품 12% 증가
과일과 채소 21% 증가
▶지출이 가장 많은 가정
가장 지출이 많은 가구의 생활비는 지난해 8.7% 증가해 전체 가구 중 연간 증가율이 가장 높았다.
이것의 주요 원인은 가장 지출이 많은 가구가 다른 집단보다 이자 지급에 비례적으로 더 많은 지출을 하기 때문에 더 높은 이자 지급이었다.

▶이자 지급에 대한 가계 지출 비율:
모든 가구는 4.7%였다
가장 지출이 많은 가구는 7.4%였다
가장 지출이 적은 가구는 2.0%였다
가장 지출이 많은 가구의 이자 지급액은 작년에 38% 증가했다.
▶지출이 가장 적은 가정의 생활비
가장 지출이 적은 가구의 생활비는 식료품, 임대료, 이자, 과일과 채소 등의 영향으로 지난해 6.9% 증가했다.
이 가구들의 전체 식료품 가격은 12% 상승했다. 식료품 가격은 13%, 과일과 채소 가격은 21%가 증가했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