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호주로 이주하는 뉴질랜드인 뿐만 아니라 시민권을 신청하는 사람들의 수도 크게 증가한 것으로 알려졌다.
뉴질랜드 정부에 의해 수년간의 문제가 제기된 후, 7월 1일부터 광범위한 변화들이 도입되어, 키위들이 그 과정을 더 쉽게 진행할 수 있게 되었다.

호주 내무부의 새로운 통계에 따르면 새로운 시민권 신청 절차가 시작된 지 단 10일 만에 5,538명이 시민권을 신청했다.
시민권 신청 변경이 적용되기 두 달 전인 2023년 5월에는 같은 기간 평균 4,738명이 신청했다.
대부분의 신청자인 35%는 퀸즐랜드에 거주하는 키위들이며, 30%는 빅토리아, 20%는 뉴사우스웨일스에 거주하는 키위들이다.

시민권을 신청한 사람들 중 한 명은 알리스테어 스튜어트인데, 그는 노스 캔터베리에서 2008년에 NSW 시골로 이주했다.
그는 매력이 경력 개발이라고 말했다.
"그 중 많은 부분이 학교에서 교사로서 경력을 착실히 쌓고 다음 목표를 교장으로 두고 리더십을 개발하는 것입니다.”
이전에는 덜 영구적인 특수 비자를 받는 것에 만족했지만, 그의 자녀들이 장애 지원이 필요해지면서 시민권이 최우선 순위가 되었다.
그는 뉴질랜드 사람들의 아이들, 심지어 호주에서 태어난 아이들도 국가 장애보험 제도에 접근할 수 없다고 말했다.
뉴질랜드 통계청의 새로운 데이터에 따르면, 2022년 호주로의 연간 순 이주 손실이 거의 10년 만에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3만 3,863명이 뉴질랜드를 떠나 호주로 향했고 2만 431명이 반대 방향으로 이주해 1만 3,400명의 이주 손실이 있었다.
앤드류 리틀 이민부 장관은 인터뷰에서 이는 예상됐던 일이라고 말했다.
그는 키위인들이 호주나, 세계의 다른 지역으로도 간다며, 이주한 키위들은 그곳에서 일하고, 잠시 살고, 어떤 사람들은 빨리 돌아오고, 어떤 사람들은 조금 더 오래 걸리지만, 대부분은 다시 돌아온다고 설명했다.
장관은 더 넓게 내다보라며, 국경이 다시 열릴 때 항상 안절부절 못하는 불안한 키위들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리틀 장관은 뉴질랜드와 기술 격차를 메우고 사람들을 이곳에 다시 오게 하는 측면에서, 우리는 코로나 이후 2년이 채 안된 18개월밖에 되지 않았기 때문에 잘 대응하고 있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