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개 정부기관, “집값 급등의 주원인 보고서” 발표
뉴질랜드 3개 정부 기관의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년 동안 치솟은 집값은 저금리 문제, 건축토지의 부족 그리고 유리한 세제에 의해 좌우됐다고 밝혔다.

재무부와 뉴질랜드 중앙은행, 주택도시개발부의 공동 보고서는 주택가격 급등에 대한 주요 원인으로 건축비용 상승과 이민은 주 원인에서 제외시켰다.
이 연구는 20년 동안 해밀턴과 와이카토의 집값을 토대로 조사했지만, 이 연구 결과를 전국적으로 적용했고, 이민을 포함한 건축비용 상승은 20년 동안 거의 4배에 가까운 집값 상승의 2차적인 이유일 뿐이라는 공통된 견해를 제시했다.
재무부 차관보이자 주택 실무그룹 의장인 도미닉 스티븐스는 "세계적인 금리 하락과 세금제도, 주거용 토지 공급 제한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지난 20년간 뉴질랜드 주택가격 상승의 주요 원인이 됐다는 것이 핵심 결론"이라고 말했다.
세계적인 금리 하락으로 집을 사기 위해 빌리는 이자가 더 저렴해 수요가 증가했고, 적절한 주택용지가 부족해 공급이 부족했으며, 양도세 없는 세제 환경으로 인해 가격이 상승해 집값이 오른 것이라고 밝혔다.
보고서는 주거용지의 부족은 더 높은 건물을 양산시키고, 새로운 지역으로 확장하는 능력을 제한하는 제한적인 계획 규칙으로 인해 더욱 악화되었다고 말했다.

와이카토 지역의 경우 20년 동안 주택 가격은 372%, 주택용지 가격은 405% 올랐고, 해밀턴 주택용지는 무려 658%나 올랐다. 반면 임대료는 114%, 수입은 98%, 건축비는 142% 정도 오른 것에 그쳤다.
이 보고서는 비과세 귀속 임대료, 즉 소유자가 효과적으로 스스로 지불하는 임대료를 포함해 더 높은 가격에 추가된 다양한 세금 왜곡과 투자로부터의 다른 유형의 소득은 과세되지 않고, 자본 이득은 과세되지 않는 등 다른 불일치를 강조했다.
주택시장의 폭발적인 상승세는 첫 주택 구입자의 시장 진입을 더욱 어렵게 만들고, 취약한 저소득층에게는 상당한 압력을 가하고 있다고 보고서는 밝혔다.
2015년 이후 치솟은 임대료는 집값 상승폭이 컸던 것보다 사회 취약계층의 복지에 더 큰 부정적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
이는 토지 공급이 좀 더 유연했다면 금리의 큰 하락으로 임대료와 집값이 낮아졌을 것이라는 결론의 중요성을 더욱 강조한다.
스티븐스는 투자자들을 위한 세금 규칙과 같은 조건과 규칙이 변화하고 있으며, 주택용지를 더 많이 공급하고 도시 밀도를 높이기 위해 계획법률을 자유화하려는 움직임이 있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