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숙련 이민자 위한 새로운 영주권 경로 발표
- WeeklyKorea
- 48분 전
- 1분 분량
NZ 퍼스트 “호주행 징검다리 우려”

뉴질랜드 정부가 숙련 인력 부족을 해결하고 기업의 인력난을 완화하기 위해 새로운 영주권 제도를 도입한다고 발표했다.
이번 개편에는 기술 경력 경로(Skilled Work Experience Pathway)와 기능공·기술직 경로(Trades and Technician Pathway)가 포함되며, 2026년 중반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경제성장부 니콜라 윌리스 장관은 “기업들이 일부 이민자들이 필요한 기술과 풍부한 경험을 가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영주권 취득이 너무 어렵다고 호소했다”며, 이번 제도가 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라고 강조했다.
기술 경력 경로는 숙련 직종 종사자로 최소 5년의 관련 경력을 보유하고, 그중 2년 이상을 뉴질랜드에서 중위 임금의 1.1배 이상을 받으며 근무한 이민자를 대상으로 한다. 기능공·기술직 경로는 레벨 4 이상의 관련 자격을 보유하고, 최소 4년의 경력을 가진 신청자 중 뉴질랜드에서 18개월 이상 중위 임금 이상을 받고 일한 사람에게 기회가 주어진다.
이민부 에리카 스탠포드 장관은 “이번 변화는 스마트하고 유연한 이민 해법의 일환”이라며 일부 직종에는 추가 자격 요건이 적용될 수 있음을 밝혔다. 또, 뉴질랜드 대학 학위를 취득한 이민자에게는 영주권 취득까지 필요한 근무 기간을 단축해, 유학 후에도 장기적으로 뉴질랜드 경제에 기여하도록 유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NZ 퍼스트, “동의하지 않음” 조항 발동
그러나 연립 여당인 뉴질랜드 퍼스트(NZ First)는 이번 정책에 반대하며 ‘agree to disagree’ 조항을 발동했다. 당 대표 윈스턴 피터스는 “뉴질랜드가 호주행 징검다리로 이용되고 있다”며, 영주권을 취득한 이민자들이 곧바로 호주로 이주하는 문제를 지적했다.
그는 “우리는 이민자들을 받아들이고, 교육하고, 가족까지 돌봐주지만 결국 많은 이들이 호주로 떠난다. 이것이 과연 효과적인 이민 정책이냐”며 강하게 비판했다. 이어, 단기적 수요 충족을 위해 이미 체류 중인 근로자의 취업 비자 3년 연장을 지지하지만 영주권 제공에는 반대 입장을 고수한다고 밝혔다.
향후 전망
이번 제도 개편은 고용주와 산업계의 인력난을 해결하는 동시에, 뉴질랜드 학위를 가진 국제 학생들의 정착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으로 풀이된다. 그러나 정치권에서는 “이민자의 이탈”과 “국내 청년 고용”을 둘러싼 논쟁이 지속될 전망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