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베이컨 샌드위치, 담배처럼 암 경고문 붙어야 할까”

  • 가공육 속 ‘니트라이트’, 암 유발 경고 논란 확산


ree

영국 과학자들이 최근 정부에 ‘베이컨과 햄에도 담배처럼 경고문을 붙여야 한다’고 요구하고 나섰다.


이유는 단순하다. 이들 가공육에 들어 있는 니트라이트(nitrite) 성분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과학적 근거가 충분하기 때문이다.


니트라이트는 고기의 색을 선명하게 유지하고, 부패를 막기 위해 첨가되는 방부제다. 하지만 인체에 들어가면 니트로사민(nitrosamine) 이라는 발암물질로 변한다. 이 물질은 DNA 구조를 손상시키고, 세포가 비정상적으로 분열하도록 만든다. 결국 시간이 지나면서 대장암을 비롯한 각종 종양으로 이어질 수 있다.


ree

세계보건기구(WHO) 산하 국제암연구소(IARC)는 이미 2015년, 가공육을 1급 발암물질(Group 1 carcinogen) 로 분류했다. 이는 담배, 석면과 같은 등급이다. 그로부터 10년 가까이 흘렀지만, 영국 정부는 여전히 니트라이트 규제에 미온적이다.


최근 영국의 암 전문 연구진은 지난 10년간 니트라이트가 포함된 가공육으로 인해 약 5만4천 건의 대장암이 발생했다 고 추정했다. 젊은 층에서 대장암이 급증하는 현상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는 경고가 잇따르고 있다.


ree

유럽연합(EU)은 이미 한발 앞서 움직였다. 가공육에 사용할 수 있는 니트라이트의 허용량을 대폭 줄이고, 무니트라이트 가공육 생산을 장려하는 정책을 도입했다. 실제로 유럽 내 일부 제조업체는 수년째 ‘니트라이트 프리’ 햄과 소시지를 대량 생산하고 있으며, 식중독 등 안전성 문제는 보고되지 않았다.


그러나 업계는 반발하고 있다. 식품 제조업체들은 “니트라이트를 없애면 세균 감염 위험이 커질 수 있다”며 기존 방식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대해 식품 안전 전문가들은 “현대의 냉장·위생 기술로 충분히 대체 가능하다”며 반박한다. 결국 문제는 기술이 아니라 정책과 의지 다.


이 논쟁은 단순한 식품 기술의 문제가 아니다. 국가가 어디까지 소비자의 건강을 보호할 책임이 있는지, 또 산업의 이익과 공중보건 사이에서 어떤 균형을 잡을 것인지에 대한 질문이다.


ree

영국 보건학자 저스틴 스테빙 교수는 “식단 속 발암물질은 예방 가능한 암의 주요 원인 중 하나”라며 “경고 표시, 첨가물 단계적 금지, 생산자 전환 지원 등을 통해 정부가 행동해야 할 시점”이라고 강조했다.


식습관은 개인의 선택이지만, 정보의 비대칭은 정부의 책임이다. ‘니트라이트가 든 가공육이 암을 유발할 수 있다’는 사실을 알 권리를 소비자에게 보장하는 것, 그것이 담배에 경고문을 붙이게 한 이유이기도 하다.



ree

댓글


더 이상 게시물에 대한 댓글 기능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 소유자에게 문의하세요.
왕마트광고.gif
오른쪽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위클리코리아_251031.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Untitled-2.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