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일부 주택 소유자, 높은 보험료로 인해 ‘보험연장 안해’

뉴질랜드 소비자보호원의 최근 보험 만족도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3분의 2 이상이 높은 주택 보험료에 대해 우려하고 있으며, 주택 소유자의 8%는 보험료 부담으로 인해 보험 연장을 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ree

이 단체의 조사팀장인 레베카 스타일스는 이번 결과가 지난해부터 소비자보호원에서 보기 시작한 추세를 계속 이어갔다고 말했다.


스타일스는 "뉴질랜드인들에게 현재의 보험 커버 수준을 검토하고 다른 보험사들과 상품을 비교할 것을 촉구한다"고 말했다.


"분명 더 나은 상품을 찾을 수 있을 가능성이 높으며, 어느 정도의 보호를 유지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는 전혀 커버하지 않는 것보다 낫습니다."

ree

스타일스는 지난 10년간 주택보험료가 97% 인상된 반면 콘텐츠 보험은 48% 인상됐다고 밝혔다.

"웰링턴은 표준 주택의 프리미엄 보험료 인상으로 가장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작년 이맘때보다 29% 올랐고 오클랜드는 26% 상승했습니다.”


"대형 주택의 경우 프리미엄 보험료는 오클랜드에서 28% 상승했고 해밀턴이 24% 상승했습니다. 더니든은 표준 주택과 대형 주택 프리미엄 보험료가 각각 12%와 9% 상승했습니다."


스타일스는 재보험 비용, 기상 이변, 개별 부동산에 대한 위험 기반 보험료 책정 증가 등이 가격 상승의 모든 요인이라고 말했다.


ree

또한 보험사들은 이제 뉴질랜드의 특정 지역과 부동산에 가해지는 위험에 대한 세분화되고 더 정확한 정보에 접근할 수 있다.


그는 "뉴질랜드가 겪고 있는 기상 이변이 잦아지고 이와 관련된 보상 청구를 감안할 때 부동산 보험료는 상승할 수밖에 없고 이 비용들은 고스란히 소비자들에게 전가되고 있다"고 말했다.


"소비자들이 할 수 있는 최선의 방법은 현재의 보장 수준을 검토하고, 둘러보고, 더 저렴한 보험을 찾으면 바꿀 준비를 하는 것입니다."

스타일스는 이번 조사에서 응답자 5명 중 1명만이 향후 12개월 안에 보험사를 바꿀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우리의 조사에 따르면 최상의 거래를 찾기 위해 보험 제공업체들을 비교하는 것이 어렵다는 것이 몇 번이고 나타났습니다. 이제 상황을 더 복잡하게 만드는 것은 많은 보험사들이 부동산에 대한 위험 평가 없이 온라인 견적을 제공하지 않는 것입니다."


스타일스는 주택 소유자가 보험을 계속 유지할 수 있는 방법이 있다고 말했다.


1. 더 큰 자기 분담금을 선택한다

"보험금 청구시 자기 분담금을 500달러를 선택하는 대신 더 높은 750~2,500달러를 선택하면 이로 인해 보험료가 낮아질 수 있습니다."


ree

스타일스는 한 가지 주의 사항을 들며 이 조언을 해주었다. "만약 자기분담금을 늘리기로 결정했다면, 감당할 수 있는지 확인하라.”


2. 요구 사항 재평가

주택 소유자가 여전히 감당할 수 없는 보험료에 대한 견적을 받은 경우 스타일스는 화재 전용 또는 화재 및 강도 보험을 선택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고 말했다.


"모든 것에 대해 보장받을 수는 없지만, 포괄적이거나 '모든 위험' 보장보다 저렴하며, 결정적으로 자연재해가 발생했을 때에도 EQC 보장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3. 할인을 받으세요

스타일스는 소비자보호원의 보험료 조사 결과 일부 보험사들이 주택과 콘텐츠를 결합한 보험에 대해 할인을 제공하고 정해진 기간 동안 자기분담금 없이 무료로 청구할 수 있고, 알람이 설치됐다는 이유로 할인을 제공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상승하는 보험료를 감안할 때, (예를 들어, 매달 지불하는 것이 아니라) 연간 보험료로 지불하는 것을 통해 보험료를 할인 받을 수 있다. 비용 상승을 고려할 때 이는 많은 소비자들에게 실행 가능한 옵션은 아닐 것 같다.


스타일스는 소비자보호원 회원들이 온라인에서 보험 상품을 비교하는 것이 더 낫다고 말했다.


ree

댓글


더 이상 게시물에 대한 댓글 기능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 소유자에게 문의하세요.
001-Recovered.gif
오른쪽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위클리코리아_251031.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Untitled-2.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