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채용 전문가가 말하는 ‘이력서 탈락’의 함정

  • 컬러 블록과 복붙 지원서 조심해야


ree

최근 실업률이 5.2%로 상승하고, 고용 여유율(underutilisation rate)도 12.8%에 달하는 등 구직 시장이 한층 냉각되고 있다.


이런 상황 속에서 지원서를 보내도 번번이 탈락한다면, 채용 전문가들이 지적하는 몇 가지 ‘지원서 함정’에 빠져 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다.


ree

경력 컨설턴트 메리 맥두걸(Merrie McDougall)은 최근 5년 사이 채용 현장에서 ‘지원자 추적 소프트웨어(Applicant Tracking Software, ATS)’ 활용이 급증했다고 전했다.


이 소프트웨어는 지원자의 이력서 속 키워드와 문구를 공고 내용과 비교해 일치 여부를 판단하는데, 매칭이 안 되면 다음 단계로 절대 넘어가지 못한다는 것이다.


또 이 시스템은 이력서의 앞 두 페이지만 읽으며, 컬러 블록 같은 화려한 디자인은 아예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그는 “컬러나 복잡한 서식 대신 단순한 워드 파일 형태를 권한다”고 조언했다.


포티튜드 그룹(Fortitude Group) 설립자 헤일리 피카드(Hayley Pickard)는 한 번에 많은 공고에 지원하는 구직자들이 범하는 또 다른 실수를 지적했다.


바로 ‘복붙’ 이력서와 자기소개서다. “경기 침체기에는 채용 담당자가 쏟아지는 지원서를 받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천편일률적인 자료는 절대 눈에 띄지 않습니다.”


그는 각 공고에 맞춰 지원서를 맞춤화하고, 해당 직무와 관련된 가장 강점 있는 경력과 성과를 강조해야 한다고 말했다.


또한 지원 범위를 무작정 넓히는 것도 피해야 한다. 그는 “요구 조건의 70~80% 이상을 충족하고, 그 이상으로 가치를 더할 수 있는 경우에만 지원하는 것이 좋다”고 했다.


다만 전혀 다른 분야라도 이전 경력에서 가져올 수 있는 ‘전이 가능한 기술(transferable skills)’이 있다면 충분히 도전해볼 만하다고 조언했다.


ree

이력서 속 ‘공백기’도 반드시 설명이 필요하다. 피카드는 “구직 공백이 길면 채용자는 최악의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며, 프리랜서 활동, 봉사, 학업 등 당시의 생산적인 활동을 간단하고 솔직하게 밝히는 것이 좋다고 했다.


경기 침체기에는 인맥을 통한 채용이 늘어난다. 그는 전 직장 동료에게 연락하거나 각종 네트워킹 기회를 활용할 것을 권했다.


또한 거듭된 탈락에도 포기하지 말고, 지원 현황을 기록하며, 피드백을 반영해 지속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취업 활동 자체를 하나의 ‘풀타임 업무’로 생각해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온라인 존재감을 관리하는 것도 중요하다. 링크드인(LinkedIn) 프로필을 최신 이력서와 일치시키고, 주요 성과를 부각해 채용 담당자가 검색했을 때 긍정적인 인상을 줄 수 있도록 준비해야 한다고 그는 덧붙였다.


ree

댓글


더 이상 게시물에 대한 댓글 기능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 소유자에게 문의하세요.
왕마트광고.gif
오른쪽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위클리코리아_251031.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Untitled-2.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