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주군 사전 파병 없다"…대만 분쟁 관련 미요청에 신중한 입장
- WeeklyKorea
- 7월 15일
- 1분 분량

호주 국방산업장관 팻 콘로이(Pat Conroy)는 미국과 중국 간 대만을 둘러싼 충돌 가능성과 관련해, 호주가 사전에 군 파병을 약속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일요일 공식 입장을 밝혔다.
그는 호주 ABC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우리는 가정적인 상황(hypotheticals)에 대해 논의하지 않으며, 파병 여부는 사전에 정하는 것이 아니라 당시 정부가 결정하는 사안”이라고 말했다.

이 발언은 미 국방부가 호주와 일본 정부에 '대만 분쟁 시 어떻게 대응할 것인지 명확히 해달라'는 압박을 가하고 있다는 파이낸셜타임스 보도 직후에 나왔다.
해당 보도에 따르면 엘브리지 콜비(Elbridge Colby) 미 국방정책 차관은 "동맹국들이 국방비를 늘리고 공동 방위에 더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며 트럼프 행정부의 '미국 우선주의(America First)'를 강조하고 있다.
중국은 대만을 자국 영토로 주장하며 무력 통일도 배제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이에 대해 대만의 라이칭더(賴清德) 총통은 “대만의 미래는 대만인이 결정한다”며 중국의 주장을 일축하고 있다.
한편, 호주와 미국은 일요일 시드니항에서 19개국 3만 명 병력이 참여하는 '탈리스만 세이버(Talisman Sabre)' 연합군사훈련을 개시했다. 이 훈련은 크리스마스섬부터 산호해까지 약 6,500km에 걸쳐 진행되며, 미국-호주 연합작전 능력 향상을 목적으로 한다.
콘로이 장관은 “호주는 중국의 핵 및 재래식 군사력 확장을 우려하고 있으며, 어느 한 국가도 지배하지 않는 균형 잡힌 인도-태평양을 원한다”고 강조했다.
특히 그는 중국이 태평양 도서국에 군사기지를 세우려는 움직임을 언급하며, “호주가 지역 내 주요 안보 파트너로 자리 잡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밝혔다.

호주는 미국과의 동맹은 유지하되, 외국 군 기지를 자국에 허용하지 않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그러나 2027년부터 미국의 버지니아급 핵잠수함이 호주 서부 기지에 정박하게 될 예정이며, 이는 대만 분쟁 발생 시 미군 지원의 핵심 전략 거점이 될 수 있다는 분석도 있다.
알바니지 총리는 이번 주 중국 지도부와의 회담을 위해 상하이에 도착했으며, 회담 의제에는 역내 안보와 군사적 긴장이 포함될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