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뉴질랜드 정부, 방위산업 전략 발표

“치명적 무기 개발·수출 본격화”


ree

뉴질랜드 정부가 국내 방위산업을 육성하고 국제 시장에 수출할 수 있는 치명적 무기(lethal weapons) 개발을 지원하는 새로운 방위산업 전략(Defence Industry Strategy)을 발표했다.


주디스 콜린스(Defence Minister)는 이번 전략을 통해 뉴질랜드 방위력 강화와 첨단 기술 기업의 성장이라는 두 마리 토끼를 잡겠다는 구상이다.


ree

방위산업-기술 기업 협력 강화

콜린스 장관은 “뉴질랜드 방위군(NZDF)이 국내 첨단 기술 기업과 손잡고 무기를 개발하고, 이를 수출 시장까지 확장할 수 있어야 한다”며 “호주나 영국 같은 시장에 진출하려면 NZDF의 브랜드가 반드시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번 전략은 약 800개에 달하는 기존 방위산업 공급망을 토대로 협업을 확대하고, 방위력 구축을 보다 빠르고 탄력적으로 달성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주요 다국적 방산기업들이 이미 뉴질랜드에서 활동하며 현지 기업에 하도급을 주고 있는 만큼, 국내 기업들이 방위군 조달 시장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길도 열리게 된다.


‘테크놀로지 액셀러레이터’ 신설

정부는 1억~3억 달러 규모의 ‘테크놀로지 액셀러레이터(Technology Accelerator)’ 를 신설해, 방위군이 활용 가능한 신기술 개발을 촉진하고 동시에 해외 수출 기반을 마련한다는 계획이다.


이 프로그램을 통해 드론, 인공지능, 로봇공학 등 첨단 국방기술을 빠르게 상용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e

타우랑가에 본사를 둔 드론 제조업체 SYOS Aerospace는 이미 국방군과 연구개발 계약을 맺은 상태다. 샘 바이(Sam Vye) 대표는 “무인기(Uncrewed Vehicle)는 기존 유인 장비보다 훨씬 저렴하면서도 인공지능, 컴퓨터 비전, 군집 운용(swarming) 등 첨단 기능을 결합해 전혀 다른 수준의 역량을 제공할 수 있다”며 정부의 전략을 환영했다.


방위력 재건과 국제 정세 대응

콜린스 장관은 “뉴질랜드가 전쟁에 대비할 수 있어야 하며, 억지(deterrence)를 위해 치명적 무기는 반드시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세상은 점점 더 불안정해지고 있으며, 우리는 누구로부터 공격받을지 알 수 없다. 따라서 독자적인 방위 역량을 갖추는 것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지난 4월 방위역량계획(Defence Capability Plan)을 통해 향후 4년간 120억 달러 규모의 방위비 투자를 예고했으며, 국방비를 8년 안에 GDP 대비 2% 이상으로 끌어올린다는 목표도 제시했다.


콜린스는 “우리가 구축하는 방위 기술은 농업 등 민간 분야에도 활용될 수 있는 이중용도(dual use) 성격을 갖는다”며 국가 혁신 생태계에 긍정적인 파급 효과를 기대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전략이 단순히 무기 수입국에 머물던 뉴질랜드를 방산 수출국으로 변화시킬 수 있는 계기가 될 수 있다고 평가한다.


동시에 국제 안보 환경이 악화되는 상황에서 자국 방위산업을 키우는 것은 “선택이 아닌 필수”라는 목소리도 커지고 있다.



ree

댓글


더 이상 게시물에 대한 댓글 기능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 소유자에게 문의하세요.
왕마트광고.gif
오른쪽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위클리코리아_251031.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Untitled-2.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