치매 환자 두 배 증가 전망…“국가적 비상 사안”
- Weekly Korea EDIT
- 5일 전
- 1분 분량

뉴질랜드가 치매 환자 급증에 제대로 대비하지 못하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알츠하이머 뉴질랜드는 현재 약 8만3천 명인 치매 환자가 2050년까지 17만 명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며, 이를 “국가적 보건 비상 사태”라고 지적했다.
“재활 서비스 투자 시급”
알츠하이머 뉴질랜드의 캐서린 홀 대표는 세계 알츠하이머 보고서 2025(World Alzheimer Report 2025) 발표와 함께 정부의 즉각적인 대응을 촉구했다. 보고서는 치매 환자가 가능한 한 오래 독립적으로 생활할 수 있도록 돕는 지역사회 기반 재활 서비스에 대한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현재 뉴질랜드에는 전국적으로 17개의 치매·알츠하이머 지원 단체가 운영되고 있지만, 홀 대표는 이들이 심각하게 자금 부족과 인력 부족 상태라고 지적했다. 그는 “이 서비스들이 충분히 지원된다면 병원이나 요양 시설로 가는 것을 늦추고, 국가적으로 훨씬 더 큰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말했다.
“치매는 국가적 정책 공백”
홀 대표는 치매 환자 3분의 1에 해당하는 약 3만 명이 당장 지원을 필요로 한다고 밝혔다. 그러나 현재 뉴질랜드는 치매 대응을 위한 종합적이고 안정적인 계획조차 마련하지 못한 상황이다.
그는 “우리는 국제 사례에서 배울 기회가 있지만, 정치적 의지와 투자가 없다면 의료 체계와 돌봄 부문, 수천 가정이 계속 고통을 겪을 수밖에 없다”고 경고했다.
알츠하이머 뉴질랜드는 오는 2026년 예산에서 추가로 2천만 달러 지원을 요구하고 있다. 현재까지는 2022년 예산에서 4년간 1,200만 달러가 배정된 ‘치매 Mate Wareware 이니셔티브’ 외에는 실질적인 증액이 없었다. 하지만 이마저도 “제한적이고 전국적 수요를 충족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다.

정부 측 반응
케이시 코스텔로 보건부 차관은 알츠하이머 뉴질랜드의 요청이 외면된 것은 아니라고 밝혔다. 그는 오는 화요일 열리는 해당 단체의 정상회담에 참석해 논의할 계획이라고 전했다.
코스텔로 차관은 “정부는 고령 뉴질랜드인들이 집에서 가능한 오래 생활하며, 각 시점에 필요한 지원을 받을 수 있도록 폭넓은 대책을 준비 중”이라며, 예방 중심의 지역사회 돌봄 체계가 핵심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치매는 예방적 접근이 특히 중요한 질환”이라며, “향후 몇 주 안에 ‘건강한 노화(Ageing Well)’에 대한 정부의 종합적 접근 방안을 발표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