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NZ식료품 시장, 공영 슈퍼마켓이 ‘독점 구조’ 흔들 수 있을까

ree
뉴질랜드의 식료품 시장은 사실상 푸드스터프(Foodstuffs) 와 울워스(Woolworths) 두 대형 체인이 지배하는 이중 독점(duopoly) 구조로 운영되고 있다. 정부가 신규 슈퍼마켓에 대한 인허가 절차를 간소화하고, 경쟁 촉진을 위한 제도 개선을 내놨지만, 실질적인 대형 경쟁자가 등장할지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기존 개혁의 한계

상업용 부지 부족, 인허가 지연, 규제 장벽 등을 해결하기 위해 정부는 신규 업체의 진입을 ‘패스트 트랙’으로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 조치가 실제로 가격 인하로 이어질지는 미지수다.


상업위원회(Commerce Commission) 역시 공급망 내 불공정 관행 개선을 위한 식료품 공급 코드(Grocery Supply Code) 개정을 추진하고, 도매시장 조사도 진행 중이다. 하지만 소규모 소매업자들이 결국 대형 체인의 가격 정책을 따라가는 ‘가격 선도(price leadership)’ 현상이 고착화되면, 소비자들이 체감할 수 있는 가격 인하 효과는 크지 않을 수 있다.


ree

대안: 공영 슈퍼마켓 체인

이에 대한 대안으로 제시되는 것이 바로 ‘공영 슈퍼마켓 체인(community provisioning enterprise)’ 이다. 이는 도매센터, 물류 네트워크, 소매점을 통합 운영하는 공기업 형태로, “가격 인하와 필수품 접근성 보장”을 목표로 한다.


  • 마진 구조: 기존 대형 체인의 일부 상품 마진이 55%에 달하는 것과 달리, 공영 체인은 총이익률을 4~7% 수준으로 낮출 수 있다는 전망.

  • 운영 원칙: 최소한의 마케팅, 간소화된 계약, 경영진 연봉 상한제 도입.

  • 사회적 역할: 저소득층과 서민 가계가 필요로 하는 필수품, 저가 상품 위주 공급.


ree

이런 모델은 단순히 국가가 운영하는 ‘배급소’ 개념이 아니라, 시장 참여자로서 가격 하방을 설정해 민간 경쟁을 촉진하는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차별화된다.


해외 사례

공영 슈퍼마켓 모델은 이미 해외에서 실험적으로 도입된 바 있다.


  • 미국: 2014년 ‘Healthy Food Financing Initiative’를 통해 48개 주에서 1000여 개 식료품 프로젝트에 10억 달러 이상 투자.

  • 일리노이주(2024): ‘Grocery Initiative Act’ 제정, 소도시 베니스에 240만 달러 지원해 공영 슈퍼마켓 건립 추진.

  • 뉴욕: 일부 정치인들은 시가 직접 운영하는 식료품점을 통해 임대료·세금 면제, 도매가 거래 등을 추진 중.


ree

뉴질랜드 적용 가능성

뉴질랜드에서 공영 슈퍼마켓이 성공하기 위해서는 다음 조건이 필요하다.


  1. 초기부터 규모의 경제 확보 – 소규모 실험이 아닌 전국적 운영.

  2. 도매·소매 동시 진출 – 유통 과정 전체를 장악해 효율성 극대화.

  3. 첨단 물류 시스템 도입 – 최신 자동화 및 공급망 기술 활용.

  4. 입법적 지원과 공공 신뢰 확보 – 시장의 저항을 이겨낼 법적·정치적 기반.

  5. 지역사회 협력 – 지방정부, 시민단체와 협업해 사회적 신뢰 유지.


경제학적으로 ‘실질적 경쟁(workable competition)’이 가능하려면 한 시장에 최소 7~9개 주요 기업이 존재해야 한다. 현재의 독점적 구조를 깨고 소비자에게 혜택을 주기 위해서는 국가 주도의 공영 슈퍼마켓 체인이 현실적인 대안으로 거론되고 있다.



ree
ree

댓글


더 이상 게시물에 대한 댓글 기능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 소유자에게 문의하세요.
왕마트광고.gif
오른쪽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위클리코리아_251031.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Untitled-2.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