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경기침체 여파…키위세이버 재정 곤란 인출 급증

ree

뉴질랜드 국민 연금 제도인 키위세이버(KiwiSaver) 계좌에서 재정적 곤란(hardship)을 이유로 한 인출이 1년 사이 5만 건을 넘어서며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5년 전 1만8천 건 대비 3배 가까이 증가한 수치다.


키위세이버 제공업체 심플리시티(Simplicity)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샤무빌 이아쿠브(Shamubeel Eaqub)는 이 같은 증가세가 2023년부터 시작되었으며, 경기침체와 생계비 위기로 인한 압박이 주요 원인이라고 분석했다.


ree

이아쿠브는 “전체 회원 중 1.6%만이 재정 곤란 인출을 했고, 전체 자산 중 0.3%에 불과한 규모”라면서도, “고통은 일부에게 집중되고 있다는 점에서 사회 전체의 문제와 유사한 구조”라고 설명했다.

ree

평균 인출액 $8,800…장기 자산에 큰 영향

퍼스널 파이낸스 플랫폼 Sorted의 재무 전문가 톰 하트만(Tom Hartmann)은 인출의 심리적 안도감도 무시할 수 없다고 밝혔다. 그는 “평균 인출액은 약 $8,800이며, 이는 30대 소득자(연 $75,000 기준)가 은퇴할 때 받게 될 금액이 약 $40,000 줄어들 수 있다”고 경고했다.


다만 하트만은 키위세이버 납입을 아예 중단하는 ‘저축 중지(Savings Suspension)’ 신청자는 오히려 감소세라고 전했다. 1년 전 약 8만9,000명이었던 중지자는 현재 8만5,000명으로 줄어들었다. 이는 인출이 단기적 긴급 자금 수요에 대응하는 일시적 선택임을 시사한다.


하트만은 인출을 고려 중인 이들에게 “최후의 수단으로만 선택할 것”을 조언하며, 정부가 지원하는 재정 상담 서비스인 MoneyTalks 등의 상담 채널을 먼저 활용하라고 강조했다.


ree

저소득층의 구조적 취약성도 드러나

이아쿠브는 키위세이버에 가입하지 않은 이들이 더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저소득층의 경우 월급 실수령액 감소를 우려해 키위세이버에 가입하지 않는 경우가 많다”면서, “그 결과 고용주 기여금이나 정부 지원 혜택도 놓치고 있으며, 위기 상황에서 인출할 수 있는 자산도 없다”고 말했다.


하지만 키위세이버 제공업체 쿠라(Kōura)의 창립자 루퍼트 칼리온(Rupert Carlyon)은, 저소득자도 꾸준히 납입하면 상당한 자산을 형성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연 소득 $60,000인 사람이 3%만 납입해도 연간 약 $3,500을 저축하게 되고, 10년만 유지해도 수익 포함해 $45,000 이상의 자산을 쌓을 수 있다”며, 키위세이버의 복리 효과를 강조했다.


‘오늘의 생존 vs 미래의 안정’ 사이 선택의 기로

이아쿠브는 “오늘의 생존과 내일의 노후 준비 중에서 선택해야 하는 이들이 많다”면서, 현재의 인출 급증이 구조적 불평등과 경기 악화가 맞물린 결과라고 진단했다.


현 상황은 키위세이버 제도가 뉴질랜드 국민의 생활 안전망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주며, 동시에 해당 제도의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한 제도적 보완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ree

댓글


더 이상 게시물에 대한 댓글 기능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 소유자에게 문의하세요.
001-Recovered.gif
오른쪽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위클리코리아_251031.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Untitled-2.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