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공공부문 일자리 축소에 졸업생들 해외로 발길

  • 정부 감축 여파…신입 채용 프로그램 줄줄이 폐지


ree

뉴질랜드 대학 졸업생들이 공공부문 취업 길이 막히면서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최근 2년간 정부 부처의 졸업생 채용 프로그램과 인턴십이 약 3분의 1 축소되면서, 많은 청년들이 본인 전공을 살리지 못한 채 생계형 일자리를 찾거나 해외로 눈을 돌리고 있는 실정이다.


환경학을 전공한 에이미(가명)는 2023년 농업부(MPI)에서 인턴십을 마친 뒤 졸업 후 MPI 신입사원 프로그램에 지원했지만, 예산 불확실성으로 프로그램이 갑작스레 취소되며 계획이 무너졌다. 그는 이후 대학원 과정에 진학했으나, 2026년부터 재개된 MPI 프로그램에서도 축소된 정원 탓에 탈락했다.


에이미는 “경험 많은 공무원 출신과 경쟁하기 어려워 이제는 해외 취업도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ree

영양학을 전공한 샬럿 마시 역시 졸업 후 공공보건 분야에 진출할 계획이었지만, 관련 프로그램이 사라지면서 구직에 실패했다. 결국 그는 6개월간의 무산된 취업 준비 끝에 승무원으로 직업을 바꿔야 했다.


공공서비스노조(PSA)의 플뢰르 피츠시몬스 사무총장은 “졸업생 채용 축소는 단기적으로 예산을 아끼는 조치일지 모르지만, 장기적으로는 공공부문 인력 구조를 왜곡시키고 더 많은 청년들을 호주 등 해외로 내몰 것”이라고 경고했다.


빅토리아대 학생회(VUWSA)도 ‘일자리는 어디에(Where’s the Work?)’ 캠페인을 벌이며 졸업생 채용 복원을 촉구했다. 학생회장 리반 알리는 “많은 학생들이 전공을 살려 사회에 기여하고 싶어 하지만, 정부 프로그램 축소로 꿈이 좌절되고 있다”고 말했다.


보존부(DoC), 통계청(Stats NZ), 사회개발부(MSD), 민족사회부, 크라운로 등 여러 기관이 졸업생 프로그램을 무기한 중단한 상태다. 농업부와 환경부가 제한적으로 재개했지만 정원은 이전보다 줄어든 상황이다.


ree

공공서비스위원회는 “예산 압박 속에서도 절반 이상의 졸업생 프로그램을 유지했으며, 구조조정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신규 채용이 어려웠다”고 해명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사태가 뉴질랜드 청년 인재의 해외 유출을 가속화할 수 있다고 지적한다. 일각에서는 “정부가 단기적 비용 절감에만 치중할 것이 아니라 미래 인력 양성을 위한 투자를 유지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ree

댓글


더 이상 게시물에 대한 댓글 기능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 소유자에게 문의하세요.
왕마트광고.gif
오른쪽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위클리코리아_251031.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Untitled-2.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