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골든 비자' 요건 완화… 미국 부유층 신청 급증
- WeeklyKorea
- 6월 26일
- 2분 분량

뉴질랜드 정부가 경기 활성화를 위해 ‘골든 비자’로 불리는 투자이민 프로그램 요건을 완화한 이후, 미국 부유층을 중심으로 신청이 급증하고 있다.
뉴질랜드 이민성(Immigration New Zealand)에 따르면, 올해 4월부터 개정된 ‘액티브 인베스터 플러스(Active Investor Plus)’ 비자 제도 시행 이후 현재까지 189건(609명 규모)의 신청이 접수됐다. 이는 기존 2년 반 동안 접수된 116건을 크게 웃도는 수치다.

국가별로는 미국 국적 신청자가 전체의 절반에 가까운 85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뒤이어 중국(26건), 홍콩(24건) 순으로 나타났다.
정부는 지난 2월 경기 부양을 목표로 비자 요건을 대폭 완화했다. 투자 최소 금액은 낮아졌고, 영어 능력 요건은 삭제됐다. 영주권 취득을 위해 뉴질랜드에 거주해야 하는 기간도 3년에서 3주로 줄었다.
투자 방식은 ▲ 최소 500만 달러를 3년간 투자하는 ‘성장형(growth)’ 카테고리와 ▲ 최소 1천만 달러를 5년간 투자하는 ‘균형형(balanced)’ 카테고리로 나뉘며, 현재까지 총 100건이 승인됐고, 7건은 실제 자금 이체가 완료돼 약 4,500만 달러의 투자금이 유입됐다.
뉴질랜드무역진흥청(NZTE) 투자담당 베니 굿맨(Benny Goodman) 국장은 “뉴질랜드는 정치적 안정성과 지속가능한 비즈니스, 기술 혁신으로 투자자들에게 매력적인 국가”라고 강조했다.
특히 최근 미국 정치 상황과 맞물려 자산가들이 ‘세금 피난처(tax haven)’가 아닌 ‘안전한 피난처(safe haven)’를 찾고 있으며, 뉴질랜드가 그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고 이민 컨설팅 업체 스튜어트 내시(Stuart Nash) 대표는 설명했다.
이는 과거에도 반복된 현상이다. 2016년 트럼프 전 대통령 당선 직후 뉴질랜드 이민청 웹사이트 방문자는 평소 대비 2,500% 증가했고, 2022년 미국 대법원의 낙태권 폐지 판결 후에도 관심이 급증했다. 2024년 트럼프 재선 이후에도 미국발 부동산 문의가 급증한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외국인 투자자 영주권 부여와 관련된 논란도 있었다. 2017년 페이팔 공동 창업자 피터 틸(Peter Thiel)이 12일간 체류 후 시민권을 취득한 사실이 알려지며 정치적 논란이 일었고, 이후 전임 정부가 투자 비자 요건을 강화한 바 있다.
현재 집권 중인 우파 연립정부는 경기 회복을 위해 투자 비자 요건뿐 아니라 외국인 대상 부동산 정책 등 과거 정부 규제를 완화하는 기조를 보이고 있다.
니콜라 윌리스(Nicola Willis) 경제성장부 장관은 성명에서 “이번 비자 프로그램을 통해 최대 8억 4,500만 뉴질랜드달러(약 7,000억 원) 규모의 잠재적 투자가 기대된다”며 “투자자는 자금뿐만 아니라 기술과 경험도 함께 가져와 뉴질랜드 경제 성장의 원동력이 될 것”이라고 밝혔다.



.jp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