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뉴질랜드 ‘관광 명소 입장료’ 논란

자연을 돈으로 환산할 수 있나

ree

뉴질랜드 정부가 주요 자연 관광지에 국제 관광객 전용 입장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관광 수익과 보전 가치 사이의 균형을 둘러싼 논쟁이 가열되고 있다.


■ 국경세에 이어 ‘관광지 입장료’ 도입 추진

정부는 현재 국경에서 징수되는 국제방문객부담금(IVL)과 별도로, 에오라키-마운트쿡 국립공원, 통가리로 크로싱, 밀포드 사운드, 캐시드럴 코브 등 4개 대표 명소에서 국제 관광객에게 1인당 20~40달러의 입장료를 부과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다.


관광부는 이를 통해 매년 6천만 달러 이상을 추가로 조성, 해당 지역의 관리·인프라 개선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해당 명소 방문객의 80% 이상이 외국인이라는 점을 고려하면 국내 여론은 긍정적일 수 있다.


그러나 문제는 복잡하다. 이미 국경세(IVL)를 낸 관광객들이 현장에서 또 다른 요금을 요구받는다면 혼란과 반감을 살 수 있기 때문이다.


■ 분산된 재원, 소외되는 ‘덜 유명한 자연’

입장료 수입을 현장에서 바로 재투자한다는 구상은 그럴듯하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 방식이 오히려 전략적 보전 정책을 약화시킬 수 있다고 우려한다.


마운트쿡이나 밀포드 사운드처럼 유명 관광지에는 자금이 몰리지만, 인프라 부족에도 불구하고 덜 알려진 지역은 오히려 지원이 줄어들 가능성이 크다는 것이다.


ree

뉴질랜드 보전부(DoC)는 현재 생물다양성 프로젝트와 전국 단위 관리 정책을 통해 균형을 맞추고 있으나, 재원이 지나치게 특정 지역으로 집중되면 ‘돈 되는 자연’과 ‘돈 안 되는 자연’의 격차가 커질 수 있다.


■ ‘보전비용 전가’가 불러올 위험

관광세와 입장료 정책이 정치적으로는 인기가 있을 수 있으나, 장기적으로는 정부의 보전 예산 축소를 정당화하는 명분으로 활용될 가능성도 있다.


보전부의 핵심 예산이 줄어들면, 관광객이 적거나 입장료로 충당할 수 없는 지역의 서식지와 프로젝트는 존속이 어려워질 수 있다.


실제로 타마 포타카 보전부 장관은 “현재 보전 토지에서 얻는 수익이 연간 5천만~6천만 달러에 불과하다”며 수익 증대 필요성을 언급했다. 그러나 환경단체들은 이러한 접근이 자연의 ‘내재적 가치’보다 재무적 가치만 강조하는 위험한 신호라고 지적한다.


■ 자연은 ‘수익원’이 아닌 ‘자산’

뉴질랜드의 국립공원과 자연보호구역은 단순한 관광 자원이 아니라, 깨끗한 공기와 물, 탄소 흡수 등 생태계 서비스를 통해 국가와 인류 전체에 기여하고 있다. 여기에 더해 정신적 휴식과 국민 건강 증진이라는 비시장적 가치도 크다.


ree

하지만 현 정부의 ‘성장 중심 전략’은 보전 지역의 상업적 활용을 확대하고, 주차장 증설이나 관광 개발 허가를 늘리는 방향으로 흘러가고 있다. 이러한 조치가 자연 보호의 본래 가치와 충돌할 수 있다는 점에서 논란은 쉽게 가라앉지 않을 전망이다.


■ 과제: 균형 잡힌 미래형 관광 모델

정부가 관광객으로부터 직접 비용을 회수하려는 시도 자체는 이해할 수 있다. 그러나 지금 필요한 것은 단기적 수익 증대가 아니라, 지속 가능한 관광 관리 체계다.


관광객 집중 지역에만 투자하는 대신, 전국의 다양한 자연지대를 관리·보호할 수 있는 종합적 접근이 필요하다. 아울러 정부가 본예산을 줄이지 않고, 입장료 수익이 추가적이고 보완적인 재원이 되도록 명확히 보장해야 한다.


뉴질랜드의 자연은 단순한 ‘관광 상품’이 아니라 국가의 정체성과 미래 세대에 물려줄 자산이다. 따라서 이번 입장료 논의는 단순히 요금 체계가 아니라, “우리는 자연을 어떻게 대우할 것인가”라는 근본적 질문을 던지고 있다.



ree
ree

댓글


더 이상 게시물에 대한 댓글 기능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 소유자에게 문의하세요.
왕마트광고.gif
jjdental 우측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위클리코리아_250930.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