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질랜드,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 거부
- WeeklyKorea
- 9월 27일
- 2분 분량
야당 “뉴질랜드, 역사의 잘못된 편에 섰다”

뉴질랜드 정부가 유엔 총회에서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하지 않겠다고 밝히면서 국내 정치권에서 거센 논란이 일고 있다.
외교장관 윈스턴 피터스는 “하마스가 가자지구의 사실상 통치 세력으로 남아 있는 상황에서 합법적이고 실질적인 팔레스타인 국가를 인정할 조건이 충족되지 않았다”며 “뉴질랜드는 아직 준비가 되어 있지 않다”고 발표했다.

이로써 뉴질랜드는 미국, 일본, 싱가포르, 한국과 같은 국가들과 보조를 맞췄지만, 이미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승인한 호주, 캐나다, 영국 등과는 엇갈린 입장을 보이게 됐다.

이에 대해 노동당은 이번 결정을 “국가적 수치”라고 규정하며 “뉴질랜드를 역사의 잘못된 편에 세웠다”고 비판했다. 피니 헤나레 외교 담당 대변인은 “럭슨 총리와 정부는 정의를 위해 설 기회를 놓쳤다”며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는 두 국가 해법도, 중동의 지속 가능한 평화도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녹색당도 정부의 태도를 강하게 비판했다. 마라마 데이비슨 공동대표는 “이번 결정은 평화와 정의, 자결권을 향한 목소리를 저버린 것으로, 아오테아로아(뉴질랜드)의 국제적 명성을 훼손했다”며 “지금 필요한 것은 팔레스타인에 대한 연대와 이스라엘에 명확한 메시지를 보내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테 파티 마오리 역시 “팔레스타인인들은 연대, 인정, 정의가 필요하다”며 정부의 발표를 규탄했다. 공동대표들은 “정부가 1천만 달러의 추가 인도적 지원을 약속한 것은 환영하지만, 돈으로 침묵의 공모를 정당화할 수는 없다”며 “진정한 연대는 이스라엘의 행위를 전쟁범죄, 아파르트헤이트, 집단학살 시도로 명명하는 정치적 용기를 필요로 한다”고 강조했다.

반면 집권 연정의 일원인 ACT당은 정부 결정을 지지했다. 데이비드 시모어 부총리는 “정부가 외교정책에서 독립적인 판단을 내렸다”며 “쉽지 않은 상황 속에서 최선의 결정을 한 것”이라고 평가했다.
뉴질랜드 유대인협의회도 이번 발표를 환영했다. 줄리엣 모지스 대변인은 “팔레스타인 국가 승인은 평화로 나아가는 실제적인 진전의 결과여야 하며, 그 자체가 대안이 될 수는 없다”며 “현재 인정은 하마스의 승리로 해석될 것”이라고 말했다. 협의회는 인도적 지원과 전쟁 종식은 지지하지만, 인질 석방과 하마스 무장 해제 등 국가 요건이 충족되어야만 승인이 가능하다고 덧붙였다.
정부는 “레토릭이 아닌 실질적 행동”이 필요하다며, 민주주의와 제도 구축을 포함한 국가 건설 과정, 하마스의 인질 전원 석방, 무장 해제와 폭력 포기 등을 조건으로 제시했다.
팔레스타인 문제를 둘러싼 국제사회의 분열 속에서, 뉴질랜드의 이번 결정은 국내 정치권의 격렬한 찬반 논쟁을 불러일으키며 향후 외교적 행보에 적지 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jp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