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질랜드에 ‘이민 위험’ 경고
- WeeklyKorea
- 13시간 전
- 2분 분량
美 국무부, 자국 대사관에 이민 관련 범죄·인권침해 자료 수집 지시

미국 트럼프 행정부가 뉴질랜드에 이민 관련 위험을 경고하며, 주웰링턴 미국대사관에 이민 관련 범죄와 인권침해 데이터를 수집하라는 공식 지시를 내린 사실이 확인됐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출범 이후 핵심 정책으로 삼고 있는 ‘반(反)이민 기조’가 태평양 지역까지 확장되는 신호로 해석된다.
미 국무부는 최근 뉴질랜드를 포함해 캐나다, 호주, 유럽 국가의 미국 대사관에 외교 전문을 보내 각국 정부와 이민 문제를 논의할 것을 지시했다. 미국 정부는 이를 “전 세계가 직면한 실존적 위기”라고 규정하며, 필요할 경우 지원도 제공할 준비가 돼 있다고 밝혔다.
미국 국무부 고위 관계자는 1News와의 통화에서 뉴질랜드의 실제 이민 규모보다는, “자유 민주주의 국가들이 대규모 이민을 긍정적으로만 보는 ‘글로벌 이민 내러티브’에 무비판적으로 동조하는 경향”을 우려한다고 말했다.
그는 “문화적으로 크게 다른 대규모 인구를 받아들일 경우 사회적 갈등이 발생한다는 사례가 많다”며, 뉴질랜드 역시 시간이 지나면 유사한 위험을 겪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뉴질랜드 정부 “이민 정책은 우리의 결정” 단호히 반박
크리스토퍼 럭슨 뉴질랜드 총리는 미국의 우려를 일축했다.
그는 “뉴질랜드의 이민 정책은 전적으로 뉴질랜드가 결정할 문제”라며, 이민자들이 뉴질랜드 경제와 사회에 기여해 온 점을 강조했다.
“이민자들은 가족과 문화를 떠나 더 나은 미래를 찾기 위해 뉴질랜드를 선택했다. 이는 기념되어야 할 일”이라고 말했다.

학계 “MAGA식 반이민 프로젝트… 뉴질랜드가 동조할 이유 없다”
폴 스푼리 메시대학교 명예교수는 미국 정부의 조치를 “매우 이례적이며 부적절한 정치적 개입”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이번 요구를 트럼프 대통령의 정치 구호인 ‘MAGA(미국을 다시 위대하게)’ 노선과 결부된 것이라고 지적하며, “이민자들을 문제시하는 미국 내 정치 프레임에 뉴질랜드가 끌려들어가서는 안 된다”고 밝혔다.
스푤리는 뉴질랜드가 최근 2년간 이민 급증 이후 안정세에 접어들었다며, 뉴질랜드 이민의 70~80%는 기술이민 등 선별된 인력 중심으로 유럽식 ‘대량 난민 유입’과는 성격이 다르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한 전 세계 일부 정치세력이 주장하는 ‘대체 이론(replacement theory)’—백인 기독교 인구가 이민자에게 대체된다는 음모론—이 미국 정책 판단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경고했다.
NZ 이민 현황: 증가세 진정… 미국의 우려와는 거리 있어
StatsNZ 자료에 따르면 2025년 8월 기준 연간 이민자 도착은 전년 대비 16% 감소했고, 출국자 수는 13% 증가했다.
두 해 전 기록적 순이민 13만 명을 기록한 이후 정상화 단계로 접어든 셈이다.
뉴질랜드 이민 구조상 대부분은 숙련 인력이며 범죄 경력이 있으면 비자 발급 자체가 불가하기 때문에 미국이 주장하는 “이민 관련 범죄 위험”은 근거가 약하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한다.

이번 사안은 다음과 같은 핵심을 보여준다.
트럼프 행정부의 반이민 정책이 태평양 지역까지 확대되는 움직임
뉴질랜드 정부는 미국의 압력에 단호하게 선을 긋고 자주적 이민정책을 강조
학계는 미국의 요구가 정치적 성격이 강하며 근거가 빈약하다고 비판
실제 NZ 이민 수치는 하락세로, 미국의 우려와 괴리 존재
뉴질랜드가 미국의 정치적 ‘반이민 프로젝트’에 동참할 가능성은 낮아 보이지만, 향후 미국 정부가 동맹국을 대상으로 어떤 외교적 압박을 이어갈지 주목된다.



.jp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