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복지수급자와 연금생활자… 기본 생활도 안돼

ree

뉴질랜드의 복지수급자와 연금생활자들이 기본적인 생활비조차 감당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영리단체 ‘카 마코나(Ka Mākona)’ 제로 헝거 콜렉티브(Zero Hunger Collective) 가 발표한 2025년 연례 보고서에 따르면, JobSeeker 수급자와 NZ Super(국민연금)만으로 생활하는 가구는 모두 주당 적자 상태인 것으로 조사됐다.


보고서는 “2025년에도 물가 상승률이 소득 증가 속도를 앞질러, 경기침체와 일자리 감소, 정부 정책 변화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많은 가구가 기본적인 생활비를 감당하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ree

JobSeeker 수급자, 주당 최대 111달러 부족

연구를 진행한 제니 심(Jennie Sim)은 전국 평균 기준으로 △단독 성인 JobSeeker 수급자는 주당 107달러 부족, △두 자녀를 둔 한부모 가정은 21.42달러, △두 자녀를 둔 맞벌이 부부 가정은 111.15달러의 적자를 보고 있다고 밝혔다.


NZ Super만으로 생활하는 경우에도 △1인 노인은 주당 17.67달러, △노인 부부는 35.85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단, 오클랜드에서는 일부 한부모 가정이 예외적으로 흑자를 기록했지만, 이는 지역별 주거비 편차에 따른 결과로 분석됐다.


주거비 상승이 핵심 원인

심 연구원은 “임대료 상승이 문제의 핵심”이라며 “가령 크라이스트처치의 3베드룸 임대료는 최근 5년 동안 약 160달러나 올랐지만, 소득은 그만큼 오르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ree

보고서는 주거비 부담이 식비와 교통비, 공과금 등 다른 기본비용을 압박해, 많은 가정이 사실상 생계 절벽에 몰리고 있다고 분석했다.


여성의 소득 불평등 문제도 여전

보고서는 특히 여성의 소득 적정성(income adequacy) 문제를 별도로 다뤘다.


심은 “간호, 교직, 사회복지 등 여성 중심 직군은 무급 실습(unpaid placement)을 요구해 학생들이 학비와 생활비 부담을 동시에 떠안는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러한 구조는 여성에게 평생 재정적 불이익을 준다”며 “경찰처럼 급여를 받으며 훈련받는 직업군에 비해 여성 직군은 초기 8~12년 동안은 차라리 최저임금 노동자보다 수입이 적고, 20년이 지나도 평균 연금 수준이 경찰의 4분의 1 수준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식량 불안, 이제는 ‘정상 가정’까지 확산

뉴질랜드 푸드 네트워크(NZ Food Network)의 CEO 개빈 핀들레이(Gavin Findlay) 는 “지난해보다 식품 지원 요청이 오히려 늘었다”며 “지금은 단순히 저소득층만의 문제가 아니라, 맞벌이 가정과 노년층까지 식량 불안(food insecurity)이 확산되고 있다”고 밝혔다.


현재 한 달에 50만 명 이상이 어떤 형태로든 식품 지원을 이용하고 있으며, 이는 뉴질랜드 인구의 10명 중 1명꼴이다.

특히 마오리와 퍼시피카 가정은 3~4가구 중 1가구가 식품 부족을 경험하고 있다.


ree

겨울에 더 어려워진 취약계층

재정 멘토 데이비드 베리(David Verry)는 “금리 하락으로 주택담보대출자들은 숨통이 트였지만, 대부분의 복지수급자나 연금생활자에게는 아무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Winter Energy Payment’(겨울 에너지 보조금) 폐지 이후 “난방비 부담이 커져 오히려 상황이 악화됐다”고 말했다.


시스템적 개입이 필요한 시점

이번 보고서는 뉴질랜드 복지 체계가 현재 물가 현실을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며, “단순한 일시적 지원이 아닌 주거비 안정, 생활임금 제도, 여성 직업 구조 개선 등의 근본적 정책 변화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ree

댓글


더 이상 게시물에 대한 댓글 기능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 소유자에게 문의하세요.
왕마트광고.gif
오른쪽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위클리코리아_251031.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Untitled-2.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