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타고 지역 ‘지진 위험 등급 상향’ 논란
- WeeklyKorea
- 10월 6일
- 2분 분량
문화유산 보존과 안전 사이의 갈림길

뉴질랜드 남섬 오타고(Otago) 지역이 ‘저위험’에서 ‘중위험’ 지진 구역으로 격상되면서 지역사회가 찬반으로 나뉘고 있다.
정부가 지진 취약 건물(Earthquake-Prone Building) 관련 법 개정을 추진하는 가운데, 더니든(Dunedin)과 인근 해안 지역은 이번 조정의 유일한 대상이 됐다.
과학자들 “더니든 지진 위험, 과소평가됐다”
오타고대학교의 마크 스털링 교수(Professor Mark Stirling)는 최근 발표된 지질 조사 결과를 근거로, 더니든 남쪽 약 15km 지점에 위치한 아카토레 단층(Akatore Fault)의 위험성을 강조했다.

“이 단층에서 발생할 주요 지진은 캔터베리 대지진(Main Shock) 과 유사한 규모가 될 것입니다. 이 단층은 남쪽으로 클루서(Clutha) 강 하구까지 이어져 있으며, 약 규모 7.5(M7.5)의 강진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스털링 교수는 지금까지 던디딘이 지진 활동이 거의 없는 ‘안전 지역’으로 인식돼 왔지만, 최근 연구를 통해 지질학적 위험이 이전보다 훨씬 높게 평가됐다고 밝혔다.
문화유산 단체 “역사적 건물 사라질까 우려”
하지만 지진위험 등급이 올라가면서 문화유산 건물 보존 단체들은 심각한 우려를 표하고 있다.
더니든의 대표적 보존 단체인 서던 헤리티지 트러스트(Southern Heritage Trust)의 조 게일러(Jo Galer) 대변인은 이렇게 말했다.

“많은 건물 소유자들이 보강 공사 비용을 감당하지 못해 결국 건물 철거를 선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더니든은 오세아니아에서 가장 밀집된 유서 깊은 건축물 집합지 중 하나입니다. 이런 건물들이 사라질 위기에 처해 있습니다.”
게일러는 건물 강화(retrofitting) 비용 증가로 인해 보험료 상승과 부동산 가치 하락이 동시에 발생할 것이라며, “좋은 의도를 가진 복원 프로젝트들이 줄줄이 무산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안전과 보존의 균형 필요” — 시장의 신중론
더니든 시장 줄스 라딕(Jules Radich) 은 시민 안전을 우선시해야 하지만, 역사적 자산의 손실도 피해야 한다며 신중한 입장을 보였다.
“가능하다면 한 채의 오래된 건물이라도 잃지 않기를 바랍니다. 하지만 현재로서는 불확실성이 너무 많습니다.”

정부 “평가와 보강까지 최대 60년 유예”
뉴질랜드 비즈니스·혁신·고용부(MBIE)는 이번 법 개정안이 통과될 경우, 더니든 시의회가 2032년까지 모든 건물의 지진 취약성 평가를 마쳐야 한다고 밝혔다.
평가 이후에도 건물 소유자는 25~35년의 보강 유예 기간이 주어진다.
지진위험 평가 전문가 데이브 브런스던(Dave Brunsdon) 은 다음과 같이 말했다.
“이 제도는 매우 복잡합니다. 지방정부, 엔지니어, 건물주가 모두 긴밀히 협력해야 하며, 어떤 시스템에서도 그 업무량은 과소평가될 수 없습니다.”

새 제도, 내년 말부터 시행 전망
법안이 통과될 경우, 새로운 지진취약 건물 평가 시스템은 내년 말부터 시행될 예정이다.
정부는 이번 개정이 지역 건물 안전을 강화하고, 동시에 장기적으로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는 기반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던디딘과 오타고 지역의 지진 위험 등급 상향은 과학적 근거에 기반한 안전 조치로 평가되지만, 한편으로는 역사적 건축물의 보존 위기와 지역 경제적 부담이라는 새로운 갈등을 불러오고 있다.



.jp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