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시간당 50달러, 12% 연금 혜택… 호주 채용업체, NZ 구직자 적극 유치

  • 생활비 부담·낮은 임금에 지친 뉴질랜드 젊은층, “호주행은 선택 아닌 생존”


ree

뉴질랜드의 높은 생활비와 정체된 임금 수준으로 인해, 젊은 직장인과 전문직 종사자들이 호주로 눈을 돌리는 현상이 심화되고 있다.


특히 호주 기업들이 시간당 50호주달러(약 55뉴질랜드달러)의 고임금과 12% 수준의 퇴직연금(Superannuation) 혜택을 내세우며 뉴질랜드 구직자들을 적극 유치하고 있다.


“뉴질랜드에선 내 집 마련이 꿈같은 일”

뉴질랜드 언론인 게드 캔(Ged Cann) 씨는 “새로 출범한 국민당 정부가 부동산 투자자에게 세금 감면을 재도입하겠다고 발표했을 때, 내 세대가 이 나라에서 집을 마련하고 안정된 삶을 살 가능성은 거의 없다고 느꼈다”고 말했다.


그는 “절반의 월급이 대출 상환에 들어가는 나라에 남느냐, 아니면 더 높은 임금과 낮은 물가, 다양한 경력 기회가 있는 호주로 가느냐의 선택이었다”며 결국 호주행을 택했다.


ree

캔 씨는 원래 동남아시아 근무를 고려했으나, 인터뷰 후 멜버른 근무 제안과 이주 지원 패키지를 받고 호주로 이주했다. “환율을 고려해 계산해보니, 실질 임금이 약 31% 상승했습니다. 그리고 직장 내 분위기와 업무 역동성도 훨씬 활발합니다.”


호주 직장은 임금·복지 모두 ‘한 수 위’

그는 호주 근무 환경의 가장 큰 장점으로 강력한 노조 제도와 복지 시스템을 꼽았다.

“호주에서는 주말이나 초과근무 수당이 기본적으로 보장됩니다. 무엇보다 연금 제도가 큽니다. 호주는 급여의 12%를 자동 적립하지만, 뉴질랜드의 키위세이버(KiwiSaver)는 고작 3%입니다. 이 차이는 은퇴 자금 성장에서 엄청난 격차를 만듭니다.”


호주행 뉴질랜드인, 1년 새 4만 7천 명

뉴질랜드 통계청(Stats NZ)에 따르면, 2025년 3월까지 1년간 약 47,734명이 호주로 이주했으며, 이 중 86%가 뉴질랜드 시민권자였다. 반대로 호주에서 돌아온 인원을 감안하더라도 순이탈 인구는 약 3만 명으로 집계됐다.


이 수치는 2004~2013년의 연평균 순이탈 규모(3만 명)와 유사하며, 코로나 이전인 2014~2019년의 평균(3천 명)을 10배 웃도는 수준이다.


ree

호주 리크루터들, 뉴질랜드 노동자에 ‘러브콜’

호주 인력업체들은 뉴질랜드 구직자 대상 채용 공세를 강화하고 있다.


‘트레이드 미(Trade Me)’에는 시간당 45~55달러의 급여, 이주 지원 및 보너스 지급 조건을 내건 공고가 다수 올라와 있으며, 채용 직종은 냉난방 기술자, 목수, 토목 기사, 측량사, 지붕공, 기술직 종사자 등 다양하다.


‘Seek’ 사이트에 따르면 호주 내 구인 공고는 약 1만8천 개에 달하며, 뉴질랜드 구직자들의 지원 비율은 코로나 이전보다 더 높아졌다.


특히 교사 이주 프로그램의 경우, 빅토리아주 교육부가 뉴질랜드 교사에게 연봉 최대 118,063호주달러 + 12% 연금을 제시해 큰 화제를 모았다.


뉴질랜드 노동시장, 임금·고용 모두 약세

키위뱅크(Kiwibank) 수석 이코노미스트 자로드 커(Jarrod Kerr)는 “건설업계에서 ‘올해의 견습생’으로 선정된 인재들이 졸업 후 호주로 떠날 것이라는 말을 자주 듣는다”며 “회사가 인재를 길러놓고 호주에 뺏기는 구조가 되었다”고 지적했다.


ree

웨스트팩(Westpac)의 수석 이코노미스트 켈리 에크홀드(Kelly Eckhold)도 “현재 뉴질랜드의 실업률(5.3%)은 호주(4.3%)보다 높고, 이 격차는 단기적으로 더 확대될 가능성이 있다”며 “호주의 인구 증가와 경제 활력은 뉴질랜드를 압도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임금 높지만, 호주도 만만치 않은 생활비”

전문가들은 다만 호주 대도시의 주거비 부담은 여전히 높다는 점을 지적한다.


에크홀드는 “시드니나 멜버른으로 이주할 경우, 주택 구입 비용은 오클랜드보다 높을 수 있다”며 “다만 세금과 연금 제도 차이를 감안하면 실질 소득 수준은 여전히 호주가 우세하다”고 설명했다.



ree

댓글


더 이상 게시물에 대한 댓글 기능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 소유자에게 문의하세요.
왕마트광고.gif
오른쪽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위클리코리아_251031.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Untitled-2.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