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트럼프, 韓·日 등 14개국 수입품에 8월 1일부터 25% 관세 예고

ree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오는 8월 1일부터 한국과 일본을 포함한 14개국에서 수입되는 제품에 대해 일괄적으로 25%의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공식 발표했다.


이번 조치는 트럼프가 자신의 소셜미디어 플랫폼인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에 직접 각국 정상에게 보낸 서한을 공개하면서 알려졌다.


트럼프는 한국 이재명 대통령과 일본 이시바 시게루 총리에게 보낸 서한에서 “귀국이 우리 제품에 관세를 인상할 경우, 그만큼을 추가로 관세에 얹겠다”며 보복 관세 의지를 분명히 했다.

ree

이번 발표는 미국과 주요 교역국 간 무역 긴장을 고조시키는 한편, 세계 경제에 미칠 충격도 우려되고 있다.


이번 조치는 한국과 일본 외에도 미얀마·라오스(40%), 캄보디아·태국(36%), 세르비아·방글라데시(35%), 인도네시아(32%), 남아공·보스니아·카자흐스탄·말레이시아·튀니지(25~30%) 등 총 14개국을 대상으로 한다.

트럼프는 관세 부과와 동시에 각국과의 무역 재협상 가능성도 열어두었으며, 미국 내 제조업 부흥과 세수 확보를 명분으로 들었다. 특히 자동차는 별도로 25%, 철강 및 알루미늄 제품은 50% 관세를 적용하겠다는 방침도 밝혔다.


이에 대해 한국 정부는 무역 당국을 중심으로 미국과의 협의 절차에 착수했으며, 일본 정부 역시 긴급 회의를 열고 대응 방안을 논의 중이다.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이번 조치가 미·중 간 무역갈등을 견제하는 전략이지만, 한국과 일본이라는 핵심 동맹국을 자극함으로써 역효과를 낳을 수 있다고 우려하고 있다.


ree

국제금융시장도 즉각 반응했다. 미국 S&P500 지수는 0.8% 하락했고, 10년 만기 국채 금리는 4.39%로 상승하며 금융시장 불안을 반영했다. 미국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일본·한국산 전자제품과 자동차의 가격 인상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번 관세 발표는 트럼프가 지난 7월 4일 서명한 대규모 감세안을 재정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한 방편 중 하나로 해석되며, 미국 의회의 협의 없이 경제 비상권을 통해 관세를 강행하겠다는 입장이다.


전문가들은 향후 3주 동안의 유예 기간 동안 각국과의 추가 협상이 진행될 것으로 보이며, 트럼프 전 대통령의 강경한 통상 정책이 재선 가도에서 주요 이슈로 부각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ree

댓글


더 이상 게시물에 대한 댓글 기능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 소유자에게 문의하세요.
왕마트광고.gif
jjdental 우측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위클리코리아_251003 (1).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Untitled-2.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