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알바니 은퇴 마을, 전기차·전동자전거·전동휠체어까지 ‘반입 금지’

다른 차량보다 화재율 25% 낮다... 주민들 강하게 반발


ree

오클랜드 노스쇼어의 알바니에 위치한 Fairview Lifestyle Village가 전기차(EV)와 e-바이크, e-스쿠터, 심지어 전동휠체어까지 새로운 반입을 금지하는 정책을 추진하면서 주민들과 갈등이 커지고 있다.


은퇴 마을 측은 “EV 화재는 발생 빈도는 낮지만 진화가 어렵고, 밀집된 주거 환경에서는 위험이 크다”며 안전 문제를 이유로 들었다. 특히 뉴질랜드에서는 요양 시설 내 EV 안전 관리 책임 주체가 명확하지 않다는 점도 불확실성을 키우고 있다고 설명했다.


정책은 현재 중재 단계에 있으며, 이미 EV를 보유한 주민들은 계속 사용할 수 있지만 새롭게 EV를 들여오는 것은 사실상 금지된다.


ree

“디젤차 화재는 뉴스도 안 되는데…EV만 과도하게 부각”

뉴질랜드 은퇴마을 협회(Retirement Village Residents Association)의 나이젤 매튜스 대표는 RNZ 인터뷰에서 “EV 화재가 발생하면 언론이 대서특필하지만, 디젤이나 휘발유 차량 화재는 거의 보도되지 않는다”며 공포가 과장되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또한, 입주 당시에는 존재하지 않았던 정책을 뒤늦게 도입하면서 주민들이 혼란에 빠졌다고 말했다.


“만약 갑자기 ‘개인 차고에서도 EV 충전 금지’라고 통보받는다면 당연히 반발이 나온다. 정책 변화가 있으면 충분한 협의가 필요하다.”


전동휠체어·e-바이크까지 금지? 우려 확산

논의 중인 금지 대상에는 e-바이크, e-스쿠터, 전동휠체어까지 포함돼 있어, 일부 주민들은 “이 정도면 이동권을 침해하는 조치”라며 반발하고 있다.


매튜스는 “휴대폰도 화재 위험이 있는데, 어디까지 금지할 것인지 합리적 기준을 세워야 한다”고 지적했다.


ree

은퇴 마을 측 “시설 안전이 최우선…법적 책임 불명확”

Fairview Lifestyle Village 측은 300여 명의 고령 주민과 직원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고려한 결정이며, 뉴질랜드에서는 EV 화재·충전 관련 법적 책임이 명확하지 않아 자체 기준을 세울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은퇴 마을은 “향후 기술 발전을 반영할 수 있도록 유연한 정책을 만들기 위해 주민 의견을 적극적으로 듣고 있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정책 확정 시점은 정해지지 않았고, 주민들의 의견이 크게 갈리면서 논의는 장기화될 전망이다.


일반 차량보다 화재율 25% 낮아

한편, 드라이브 일렉트릭(Drive Electric)의 대표 커스틴 코슨은 헤더 듀 플레시스-앨런에게 전기차 운행 금지는 완전히 불합리하다고 주장했다.


그녀는 전기차가 휘발유나 경유 차량보다 화재 위험이 25% 낮다고 말했다.



ree

댓글


더 이상 게시물에 대한 댓글 기능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 소유자에게 문의하세요.
한상유통.gif
오른쪽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위클리코리아_251126.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Untitled-2.jpg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