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뉴질랜드 금리가 호주보다 더 높았나
- WeeklyKorea
- 8월 24일
- 1분 분량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금리 인상의 충격은 호주보다 뉴질랜드 가계에 훨씬 더 크게 다가왔다. 전문가들은 그 배경에 중앙은행의 통화정책 차이와 재정 지출 규모의 차이가 있었다고 지적한다.
지난해 6월 금리 인상 정점에서 뉴질랜드 가계의 주택담보대출 상환액은 코로나 이전보다 47% 늘어난 반면, 호주는 35% 증가에 그쳤다. 뉴질랜드 중앙은행(RBNZ)의 기준금리(OCR)는 5.5%까지 치솟았지만, 호주중앙은행(RBA)은 4.35%에서 인상을 멈췄다.

뉴질랜드의 ‘충격 요법’
키위뱅크의 재러드 커 수석 이코노미스트는 이번 인상 국면을 두고 “RBNZ 역사상 가장 가파른 금리 인상 사이클”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RBNZ는 인플레이션 억제에 지나치게 공격적이었다. 반면 RBA는 ‘긴축은 필요하지만 과도하게 갈 필요는 없다’는 입장을 고수했고, 결과적으로 호주 경제는 침체를 피했지만 뉴질랜드는 깊은 경기침체에 빠졌다”고 말했다.
호주의 안정적 접근
인포메트릭스의 가레스 키어넌 수석 예측가는 호주 은행들이 기준금리 인하를 장기 고정금리 상품에 신속히 반영하는 경향이 있어 가계 부담이 덜했다고 분석했다.
뉴질랜드의 경우 1~2년 단기 고정금리가 주류여서 금리 인상 충격이 곧바로 가계에 전가됐다.
더 큰 정부 지출이 불러온 부담
ANZ의 마일스 워크먼 선임 이코노미스트는 재정정책도 중요한 변수였다고 지적했다.
그는 “뉴질랜드는 호주보다 훨씬 더 큰 규모의 재정 확장을 단행했다. 경제 여력이 없는 상황에서 정부가 지출을 늘리면 결국 인플레이션 압력으로 이어지고, 이는 더 높은 기준금리를 불러올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불황을 감수하겠다’는 신호
워크먼은 또 RBNZ가 공개적으로 ‘경기를 일부러 위축시킬 수 있다’는 메시지를 던진 점이 정책의 효과를 배가했다고 설명했다.
“그런 충격 요법 덕분에 금리를 더 높이지 않아도 됐지만, 그 대가로 가계의 생활비 부담이 급격히 늘고 소비심리가 위축됐다”고 덧붙였다.
금리 하락 속도는 뉴질랜드가 더 빨라
물가 상승세가 둔화되면서 RBNZ는 최근 공격적으로 금리를 인하하고 있다. 2025년 중반 기준, 뉴질랜드의 1년 고정 모기지 금리는 지난해 말 대비 243bp(2.43%포인트) 하락했다. 반면 호주는 같은 기간 83bp 하락에 그쳤다.
그러나 이미 많은 뉴질랜드 가계는 더 높은 금리와 깊은 경기침체라는 후폭풍을 고스란히 겪은 상태다.



.jpg)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