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국방부→‘전쟁부’로 개명 추진
- WeeklyKorea
- 9월 7일
- 1분 분량
제2차 세계대전 이후 국제 질서에 역행 논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국방부(Department of Defense)를 제2차 세계대전 이전 명칭인 ‘전쟁부(Department of War)’로 되돌리려는 방안을 추진하면서 정치권과 국제사회에 파장이 일고 있다.
“본질을 더 잘 드러내는 이름” vs “국제 질서 역행”
트럼프 대통령은 기존의 국방부 명칭이 군의 임무 본질을 흐린다며, 역사적 이름인 ‘전쟁부’가 더 직관적이라고 주장했다. 하지만 이 구상은 1949년 이후 70여 년간 유지돼온 체제를 뒤흔드는 움직임으로,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국이 주도해 온 국제 질서와 평화 담론을 무너뜨릴 수 있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해당 부처 개명안은 의회의 승인을 받아야 하며, 단순히 ‘브랜딩’을 넘어 미국의 외교·군사 전략 방향성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논란이 커지고 있다.

‘전쟁부’의 뿌리와 변천사
미국 의회는 1789년 육군을 관리하는 전쟁부(Department of War)를 창설했으며, 해군은 1798년 분리돼 독자 부처로 운영됐다. 이후 19세기와 20세기 초까지 전쟁부 장관과 해군 장관은 대통령의 핵심 안보 참모 역할을 맡았다.
그러나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변화가 찾아왔다.
1947년 국가안전보장법(National Security Act) 제정 → ‘국가군사조직(National Military Establishment)’ 신설, CIA·NSC 창설
1949년 → ‘국방부(Department of Defense)’로 개칭, 오늘날 체제 확립

트루먼 대통령은 당시 “군의 임무는 전쟁이 아니라 평화를 향한 것”이라고 강조했으며, 이는 전후 미국의 “힘을 통한 평화(Peace through Strength)” 기조로 이어졌다.
트럼프의 논리와 모순
트럼프 대통령은 “Department of War가 더 멋지고 직설적”이라며 재개명을 추진 중이다. 그러나 그는 동시에 해외 군사 개입을 ‘낭비’라고 비판하면서도,
이란 폭격 지시,
이스라엘 무기 지원,
베네수엘라 선박 타격 승인
등 군사력을 적극적으로 사용한 바 있어, 그의 발언과 행동 사이에 모순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냉전 이후 이어진 ‘평화를 위한 군사력’ 논리
트루먼 이후 미국은 한반도(한국전), 베트남, 걸프전, 아프가니스탄·이라크 전쟁 등 수차례 전쟁을 치렀지만, 공식적으로는 평화 유지를 위한 개입이라는 명분을 내세웠다.
트럼프의 발언은 이러한 전통적인 ‘평화 담론’을 걷어내고, 미국 군사력의 본질을 ‘전쟁 수행 능력’으로 재규정하려는 시도로 읽히고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