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정부, 유가 급등에 ‘유류 보조금 지급 계획 없다’

  • 재무장관 “국제 사례 봐도 지속 불가…물가 안정이 우선”


"뉴질랜드 휘발유 가격 추이"
"뉴질랜드 휘발유 가격 추이"
니콜라 윌리스(Nicola Willis) 재무장관은 최근 중동 지역 분쟁으로 인한 국제 유가 급등에도 불구하고 국내 유류 보조금 지급 계획이 없다고 공식 발표했다.

윌리스 장관은 국제유가 상승이 리터당 약 10센트 인상 효과를 가져온다며, “지난주 원유 가격이 약 10달러 상승했으나 오늘도 여전히 가격 변동이 이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만약 유가가 크게 오르더라도 정부 보조금으로 대응할 생각은 없다”고 못 박았다.

“국제적으로 볼 때 유류 보조금 정책은 지속하기 매우 어려운 정책입니다. 이전 정부가 유사한 정책을 시도할 때 겪은 어려움을 지켜본 바 있습니다.”


ree

윌리스 장관은 유류 보조금 대신 뉴질랜드 경제 전반의 물가 안정에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지금 필요한 것은 전방위적으로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 노력하는 것입니다.”


앞서 노동당 정부(2022년)는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이후 발생한 생활비 위기 대응책으로 리터당 25센트 유류세 인하를 단행한 바 있다. 당시 인하 조치는 2023년 7월까지 단계적으로 연장됐다.

크리스 힙킨스(Chris Hipkins) 노동당 대표는 현 정부의 대응에 대해 명확한 입장을 내놓지 않으며 “당시 우리는 비슷한 상황에서 유류세를 인하했지만, 지금 정부가 어떻게 할지는 그들의 몫”이라며 말을 아꼈다.


힙킨스 대표는 “사실상 유류세를 다시 원상복구했을 때부터 노동당의 지지율이 급격히 하락한 것도 사실”이라며, 당시 결정의 정치적 부담도 인정했다.


윌리스 장관은 국제유가 급등이 뉴질랜드에 미치는 영향으로 공급망 교란 가능성과 산유국들의 공급 대응 여부를 핵심 변수로 꼽았다.


ree

힙킨스 대표는 핵무기 관련 발언까지 나오는 현 국제정세에 대해 “전 세계적으로 매우 긴장된 상황”이라며 우려를 표했다. “폭력이나 군사력으로 핵무기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는 점은 분명하다”고 강조했다.


ree

댓글


더 이상 게시물에 대한 댓글 기능이 지원되지 않습니다. 자세한 사항은 사이트 소유자에게 문의하세요.
001-Recovered.gif
오른쪽배너.jpg
세계한인언론인협회.jpg
위클리코리아_251031.gif
뉴스코리아-배너.jpg
거복식품-001.jpg
Untitled-2.jpg
bottom of page